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교화인민(敎和人民)[경화가(警和歌) 9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을 가르치고 교화시킴.
교화중생(敎化衆生교화)[권도가(勸道歌) 3 페이지 / 전적]
중생을 어둠에서 밝음으로 교화시키는 일
교활(狡猾)[제주여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약은 꾀를 쓰는 것이 능함.또는 술수나 행동 따위가 능란함이 있게 약음.
교훈(敎訓)[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앞으로의 행동이나 생활에 지침이 될 만한 가르침.
교훈(敎訓)[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5 페이지 / 전적]
앞으로의 행동이나 생활에 지침이 될 만한 가르침.
교밧게[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교자(轎子)밖에. 가마밖에.
교[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교행(郊行).
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九六」―易의 卦爻가 陰陽으로 對待되어 九는 陽, 六은 陰임.
구[경게가라 12 페이지 / 전적]
비둘기. 비둘기목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멧비둘기, 염주비둘기, 홍비둘기, 흑비둘기 따위의 여러 종류가 있음. 야생종과 집비둘기로 크게 나누는데 야생종은 대부분 텃새임. 부리가 짧고 다리도 가늘고 짧으며 날개가 큰 편임. 식도의 큰 모이주머니에 먹이를 저장하고 그 벽에서 암죽을 분비하여 새끼에게 먹임. 성질이 온순하여 길들이기 쉽고 귀소성을 이용하여 통신에 사용함. 평화를 상징하는 새임.
구[경게가라 12 페이지 / 전적]
비둘기. 비둘기목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멧비둘기, 염주비둘기, 홍비둘기, 흑비둘기 따위의 여러 종류가 있음. 야생종과 집비둘기로 크게 나누는데 야생종은 대부분 텃새임. 부리가 짧고 다리도 가늘고 짧으며 날개가 큰 편임. 식도의 큰 모이주머니에 먹이를 저장하고 그 벽에서 암죽을 분비하여 새끼에게 먹임. 성질이 온순하여 길들이기 쉽고 귀소성을 이용하여 통신에 사용함. 평화를 상징하는 새임.
구 양수(歐陽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歐賦」― 歐陽脩의 憎蒼蠅賦에「炎風之燠 夏日之長 神昏氣蹙流汗成漿 尋頭撲面 入袖穿裳或集眉端 或沿眼眶」이란 句가 있음.
구(旧)[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서는 음력을 뜻함.
구가(九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1 페이지 / 전적]
「九歌」―屈原의 所作으로 楚辭 卷二에 실려있음.
구가(舅家)[외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 시댁.
구가(舊家)[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대를 이어 온 집안.
구가(謳歌)[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칭송하여 노래함. 행복한 처지나 기쁜 마음 따위를 거리낌 없이 나타냄. 또는 그런 소리.
구가(謳歌)[허후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칭송하여 노래함, 행복한 처지나 기쁜 마음 따위를 거리낌 없이 나타냄.
구가[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8 페이지 / 전적]
구가(舊家)에. 오래된 문중의 집안에.
구각(晷刻)[노졍긔 16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
구각(晷刻)[노졍긔 16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