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구선복(具善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6 페이지 / 전적]

구선복(具善復, ?∼1786)

구설앙화(口舌殃禍)[안심가 4 페이지 / 전적]

시비하는 말과 앙갚음으로 받는 재앙.

구성(九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동북 9성을 이르는 것. 동북 9성(東北九城)은 강동 6주와 함께 고려의 북진 정책 및 영토 확장을 상징하는 지역이다. 윤관이 별무반을 거느리고 천리장성 너머 동북 지역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9성을 쌓았는데, 이 9성을 일러 동북 9성이라 불렀다.

구성(九成)[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국악에서, 아홉 곡이 끝남을 이르는 말.종묘 제례의 강신악에는 희문(熙文)을 아홉 번 되풀이 연주하고, 문묘 제례의 영신악에는 황종궁 세 번, 중려궁 두 번, 남려궁 두 번, 이칙궁(夷則宮) 두 번 모두 네 곡을 아홉 번 연주한다.

구성(九成)[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국악에서, 아홉 곡이 끝남을 이르는 말. 종묘 제례의 강신악에는 희문(熙文)을 아홉 번 되풀이 연주하고, 문묘 제례의 영신악에는 황종궁 세 번, 중려궁 두 번, 남려궁 두 번, 이칙궁(夷則宮) 두 번 모두 네 곡을 아홉 번 연주한다.

구성(具宬, 명종 13, 1558~광해군 10, 1618)[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0 페이지 / 전적]

자는 원유(元裕), 호는 초당(草塘). 좌찬성 사맹(思孟)의 아들로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에 예조정랑 정언 호조참판 대사성 등을 지냈다.

구성지네[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연스럽고 구수함.

구세(九世)[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3 페이지 / 전적]

‘구세 동거(九世同居)’를 반영한 어구임. 즉, 구대(九代)가 한집안에서 산다는 뜻으로, 집안이 화목함을 이르는 표현.

구세동거(九世同居)[ 1 페이지 / ]

구대(九代)가 한집안에서 산다는 뜻으로, 집안이 화목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장공예(張公藝)의 구대의 친족이 동거한 고사에서 연유하였음.

구세동거(九世同居)[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5 페이지 / 전적]

구대(九代)가 한집안에서 산다는 뜻으로, 집안이 화목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장공예(張公藝)의 구대의 친족이 동거한 고사에서 연유하였음.

구세동거(九世同居)[여행록이라(여녹이라) 24 페이지 / 전적]

아홉 대에 걸쳐 이루어진 친족이 한집에 산다는 뜻으로, 집안이 매우 화목함.

구세동거일실내(九歲同居一室內)[춘화추동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9대가 한 집에서 살았다는 이야기. 화목한 가정의 모습

구세동자(九歲童子)[효자가 4 페이지 / 전적]

『산음세고(産陰世稿) 』권2의 「아곡전공연보(我谷全公年譜)」에는 팔 세 때의 일로 기록되어 있다.

구세자씨(九歲姊氏)[삼한가라(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살 먹은 손위 누이.

구세창손(九世昌孫)[경노의심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도록 번창할 자손.

구소(九霄)[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높은 하늘.

구소(歐蘇)[팔도가 11 페이지 / 전적]

구양수(歐陽脩)와 소동파(蘇東坡)를 가리킴.

구소(歐蘇)[팔도가 11 페이지 / 전적]

구양수(歐陽脩)와 소동파(蘇東坡)를 가리킴.

구소(歐蘇)[북쳔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이자 문인 이었던 구양수와 소동파를 아울러 이르는 말.

구소(苟笑)[승차선비가(乘車船飛歌) 3 페이지 / 전적]

구차하게 웃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