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구변(口辯)[초씨션원쳥음가 15 페이지 / 전적]

말을 잘하는 재주나 솜씨.

구변(口辯)[형졔분슈가 7 페이지 / 전적]

언변.

구변구복(九變九覆)[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천신(天神)도 아홉 번 변하고 지신(地神)도 아홉 번 변함.

구변구복(九變九覆)[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천신(天神)도 아홉 번 변하고 지신(地神)도 아홉 번 변함.

구변구복(九變九覆)[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천신(天神)도 아홉 번 변하고 지신(地神)도 아홉 번 변함.

구변구복(九變九覆)[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천신(天神)도 아홉 번 변하고 지신(地神)도 아홉 번 변함.

구변구복(九變九覆)[오황불이 2 페이지 / 전적]

천신(天神)도 아홉 번 변하고 지신(地神)도 아홉 번 변함.

구변구복(九變九復)[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번 변화하고, 아홉 번 돌이킴. 변화와 돌이킴이 극에 이름.

구변구복(九變九復)[경화가(警和歌) 42 페이지 / 전적]

천지가 아홉 번 변하고 아홉 번 뒤집어짐.

구변구복(九變九復)[경화가(警和歌) 42 페이지 / 전적]

천지가 아홉 번 변하고 아홉 번 뒤집어짐.

구복(九復)[막소가(莫笑歌) 17 페이지 / 전적]

아홉 번 회복된다.

구복(九復)[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2 페이지 / 전적]

아홉 번 회복된다.

구복(口腹)[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식을 먹는 입과 배. 곧 먹고사는 일

구복(口腹)[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먹고살기 위하여 음식물을 섭취하는 입과 배.

구복(求福)[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복을 구함.

구봉[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15 페이지 / 전적]

송익필(宋翼弼, 중종 29, 1534~선조 32, 1599)의 호. 자는 운장(雲長). 서출로 벼슬은 하지 못했으나, 이이(李珥) 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을 논하여 통달했고 예학에도 뛰어났다. 문장에도 능했으며 고양 구봉산에서 후진을 양성하여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 서성(徐渻), 정홍명(鄭弘溟), 김반(金槃) 등 많은 학자를 배출했다

구봉(鷗峰)[석촌별곡 5 페이지 / 전적]

작품 세주에 “종산 아래 제2봉이다(鍾山下 第二峯也)”고 하였다.

구부(舅父)[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2 페이지 / 전적]

시아버지와 며느리.

구부(驅夫)[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말몰이꾼. 짐을 싣는 말을 몰고 다니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구불가형언(口不可形言)[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말로는 그 뜻을 나타낼 수 없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