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가새[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1 페이지 / 전적]
‘가위’의 방언.
가색간란(稼穡間欄)[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심고 가꾸는 사이의 어려움.
가색간란(稼穡間欄)[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심고 가꾸는 사이의 어려움.
가석(可惜)[여자석별가 1 페이지 / 전적]
몹시 아까움.
가석(可惜)[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아까움.
가선(加線)[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덧대어 줄을 그름. 곧 같은 줄에 있음.
가선(嘉善)[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 문관(文官)으로 종2품 하(下)의 품계.
가선(嘉善)[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 종2품 하(下)의 품계.
가선대부(嘉善大夫)[장씨부인역사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종이품 문무관의 품계. 가의대부의 아래 급으로, 태조 1년(1392)에 설치하였으며 고종 2년(1865)부터 문무관, 종친, 의빈(儀賓)의 품계로도 썼음.
가선대부(嘉善大夫)[장씨부인역사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종이품 문무관의 품계. 가의대부의 아래 급으로, 태조 1년(1392)에 설치하였으며 고종 2년(1865)부터 문무관, 종친, 의빈(儀賓)의 품계로도 썼음.
가선대부(嘉善大夫)[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종이품(從二品) 문무관의 품계.
가설(假說)[효행록이라(효록이라) 5 페이지 / 전적]
가령(假令)의 옛말.
가섭(迦葉)[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7 페이지 / 전적]
석가의 십대 제자 중 한 사람이다.석가가 죽은 뒤 제자들의 집단을 이끌어 가는 영도자 역할을 해냄으로써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불린다.
가섭(迦葉)[연행별곡(연별곡) 17 페이지 / 전적]
석가의 십대 제자 중 한 사람이다.석가가 죽은 뒤 제자들의 집단을 이끌어 가는 영도자 역할을 해냄으로써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불린다.
가섭불(迦葉佛)[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가섭(迦葉). 카시아파의 한자식 이름. 마하카시아파의 준말. 불타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욕심이 적고 족할 줄을 알아 엄격한 계율로 두타(頭陀)를 행하였고, 교단의 우두머리로 존경을 받았음.
가성(佳城)[송강집(松江集六)6 20 페이지 / 전적]
사람의 묘자리를 이름. 묘의 견고함을 성(城)에 비유함. 西京雜紀에「佳城 鬱鬱三千年見白日」
가성(佳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2 페이지 / 전적]
「佳城」-墓地를 말함. 傳物志異聞에『夏侯嬰이 죽으매 送葬하여 都門밖에 당도하자 말이 땅에 엎디어 슬피 울므로 그곳을 파보니 石槨이 발견되었는데 그 銘에 이르기를「佳城鬱鬱 三千年 見白日 旴嗟膝公居此室」이라했다. 이로부터 佳城은 墓地의 通稱이 되었음.
가성(歌聲[축산별곡 8 페이지 / 전적]
노랫소리. 여기서는 물소리.
가성문호(家姓門戶)[명륜가(明倫歌) 18 페이지 / 전적]
가문의 문벌.
가세(家勢)[사친가2(思親歌(二)) 3 페이지 / 전적]
집안 살림살이의 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