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가리포(加里浦)[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0 페이지 / 전적]
현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에 소재.
가마[신힁가라 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한 사람이 안에 타고 둘이나 넷이 들거나 메던, 조그만 집 모양의 탈것. 연(輦), 덩, 초헌(軺軒), 남여(籃輿), 사인교(四人轎) 따위가 있음.
가마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2 페이지 / 전적]
「烏銜土」― 徐廣의 孝子傳에「巴郡人 文壤이 母喪을 당하자 兄弟 두사람이 營葬하며 僮僕의 힘을 쓰지 아니하니 장사하는 날에 뭇까마귀 수천마리가 흙덩이를 물고 날아와 도와서 무덤을 만들었다」하였음
가망(可望)[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될 만하거나 가능성이 있는 희망.
가망(家亡)[근혼가(謹婚歌) 5 페이지 / 전적]
가문이 망함.
가망(家亡)[분별가(分別歌) 1 페이지 / 전적]
가문이 망함.
가면야야면무가(假眠夜夜眠無假)[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밤마다 잠 빌어도 잠오지 않고
가모(假母)[슈절자탄가 8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핏줄을 받지 않은 어머니. 양모나 계모 또는 아버지의 첩을 이름.
가모(假母)[슈절자탄가 8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핏줄을 받지 않은 어머니. 양모나 계모 또는 아버지의 첩을 이름.
가묘(家廟)[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7 페이지 / 전적]
한 집안의 사당(祠堂).
가묘(家廟)[충효가(忠孝歌) 28 페이지 / 전적]
조상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
가묘(家廟)[회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집안의 사당.
가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0 페이지 / 전적]
‘가무’는 문맥상으로 보아 가문(家門)이 되어야 함.
가무(歌舞)[츅친서라 7 페이지 / 전적]
춤과 노래.
가무(歌舞)[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춤과 노래.
가문의 화[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4 페이지 / 전적]
을사사화(명종 1, 1545)를 말함. 명종의 외숙 윤원형이 인종의 외숙 윤임 일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사화. 명종이 즉위하자 윤원형이 권력을 잡고 윤임 일파와 계림군(桂林君) 유(瑠)를 죽이고 많은 관리들을 삭직시키고 유배보낸 사건이다. 정철은 맏누이가 인종의 숙의(淑儀)가 되고 둘째 누이가 계림군(桂林君)의 부인이 되었는데, 을사사화로 계림군과 관련된 정철의 부친 유침이 귀양갔던 것을 말한다.
가물 가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3 페이지 / 전적]
「眼花」-眼力이 흐르다는 말임. 杜甫詩飮中八仙歌에『知章騎馬似乘船 眼花落井水底眠』이 있고 또 蘇軾의 大雪詩에 『光搖銀海眩生花』의 句가 있음.
가물음[신힁가라 19 페이지 / 전적]
가뭄.
가뭄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3 페이지 / 전적]
「霖雨巨川舟」- 書經 說命篇에「若歲大旱 同汝作霖雨 若濟巨川用汝作舟楫」이란 대문이 있음.
가뭉이나[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