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안규모[김씨효행가 38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의 씀씀이인 듯함.

안기생[석천집(石川集二-五)2-5 48 페이지 / 전적]

안기생(安期生)이 화조(火棗)를 먹고 신선처럼 오래 살았다고 함. 화조는 신선이 사는 곳에 있다는 대추나무로서 이것을 먹으면 수명이 천년 늘어난다고 한다.

안기생(安期生)[석천집(石川集二-一)2-1 43 페이지 / 전적]

仙人이니 대추가 오이만큼 큰것을 먹었다

안기생(安期生)[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진(秦)의 사람. 하상장인(河上丈人)에게 배움을 받아 장수(長壽)하였으므로 천세옹(千歲翁)이라 하였음.

안기생(安期生)[거창가 12 페이지 / 전적]

진시황 때의 선인(仙人). 포박자(抱朴子).

안기생(安期生)[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진(秦)의 사람. 하상장인(河上丈人)에게 배움을 받아 장수(長壽)하였으므로 천세옹(千歲翁)이라 하였음.

안기생(安期生)[거창가 12 페이지 / 전적]

진시황 때의 선인(仙人). 포박자(抱朴子).

안기생(安期生)[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동해의 선산(仙山)에서 살았다는 고대의 전설적인 선인(仙人)의 이름이다.

안기생(安期生)[아림가(娥林歌) 18 페이지 / 전적]

동해의 선산(仙山)에서 살았다는 고대의 전설적인 선인(仙人)의 이름이다.

안기선생(安期先生)[춘몽가(츈몽가) 33 페이지 / 전적]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나오는 말로 한나라의 장량이 진시황을 저격하려다가 실패해서 하비현에 숨어듬.그 때 하비현 이교(泥橋)에서 한 노인을 만났는데, 노인이 일부러 신을 다리에서 떨어뜨려 줍게 함.장량이 꾹 참고 주워주자 가르칠 만하다 하며 다시 만나기로 함.장량이 늦게 나갔다가 혼난 후 일찍 나갔더니 노인이 "마땅히 이렇게 해야지"라고 기뻐하고는 책 한 권을 내놓으면서, "이 책을 읽으면 제왕의 스승이 될 수 있으며, 10년 후에는 그 뜻을 이룰 것이다.그리고 13년 뒤에 제수(濟水) 북쪽에서 나를 만날 수 있을 것인데, 곡성산 아래의 누런 돌(黃石)이 바로 나이니라." 하고는 그곳을 떠남.이 책이 바로 황석공의 소서와 태공망의 병서이며 노인을 황석공이라고 함.장량은 이 책을 늘 익히고 송독(誦讀)한 끝에 그 묘리를 깨달았으며, 한고조를 지혜롭게 도와 천하를 통일함.13년 후에 장량이 한고조를 따라 제북(濟北)을 지나갔는데 과연 곡성산 아래에서 누런 돌을 보게 되어, 신기하게 여겨 가지고 돌아와 보물처럼 받들며 제사까지 지냄.장량이 죽자 그 돌을 같이 안장하였는데, 그 후 성묘하는 날이나 복일(伏日), 납일이 돌아오면 장량과 더불어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생김.

안기선생(安期先生)[춘몽가(츈몽가) 33 페이지 / 전적]

진(秦)나라의 방사(方士) 안기생(安期生)을 지칭.안기생(安期生)은 진(秦) 나라 때 산동성(山東省) 낭아산(玡琅山) 밑에서 출생.안기생(安期生)은 주로 해변을 돌아다니며 약을 팔아서 생계를 유지하였는데 사람들은 안기생(安期生)을 천세공(千歲公)이라고 부름.

안녹산(安祿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현종 때의 무장(?703~757)으로 양국충(楊國忠)과 대립하여, 755년에 반란을 일으켜 낙양(洛陽)에서 대연황제(大燕皇帝)라 칭하였으나, 둘째 아들 경서(慶緖)에게 피살되었음.

안녹산(安祿山)[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무장(?703~757). 현종의 신임을 받고, 양국충(楊國忠)과 대립하여, 755년에 반란을 일으켜 뤄양(洛陽)에서 대연 황제(大燕皇帝)라 칭하였으나, 둘째 아들 경서(慶緖)에게 피살되었다.

안녹산(安祿山)[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무장(?703~757). 현종의 신임을 받고, 양국충(楊國忠)과 대립하여, 755년에 반란을 일으켜 뤄양(洛陽)에서 대연 황제(大燕皇帝)라 칭하였으나, 둘째 아들 경서(慶緖)에게 피살되었다.

안대(案對)[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안산 뒤에 병풍처럼 띠를 두르고 있는 듯한 산.

안대(案對)[장씨부인역사라 15 페이지 / 전적]

마주 보아 앞을 가리어 막은 산. 안산(案山). 집이나 묘의 정면에 있는 봉우리.

안대(案對)[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안산 뒤에 병풍처럼 띠를 두르고 있는 듯한 산.

안대(案對)[장씨부인역사라 15 페이지 / 전적]

마주 보아 앞을 가리어 막은 산. 안산(案山). 집이나 묘의 정면에 있는 봉우리.

안대(案對)[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혈(穴)앞에 낮게 엎드린 산으로 주인과 마주 앉은 책상과 같은 역할을 한다. 높으면 눈썹 정도 낮으면 심장 정도의 위치여야 좋다.

안대(案對)[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혈(穴)앞에 낮게 엎드린 산으로 주인과 마주 앉은 책상과 같은 역할을 한다. 높으면 눈썹 정도 낮으면 심장 정도의 위치여야 좋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