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십오야(十五夜)[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오야(三五夜)와 같은 말로 음력 보름을 뜻한다.
십오야(十五夜)[선유가라 3 페이지 / 전적]
음력 보름날 밤.
십오일(十五日) 달[도리산화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보름달.
십오일(十五日) 달[도리산화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보름달.
십육관경(十六觀經) 관경(觀境) 십육관(十六觀)[자책가(가) 10 페이지 / 전적]
① 열여섯 가지의 관경(觀境). ② 십육관(十六觀)의 경(經).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준말. 무량수관경(無量壽觀經). 정토종(淨土宗) 삼부경(三 部經)의 하나.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설도(說道)된 것. 곧,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의 정토 (淨土) 및 불신을 관상(觀想)하는 열여섯 가지의 법.
십육궁(十六宮)[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0 페이지 / 전적]
별자리.
십이렴(十二簾)[화전가1 13 페이지 / 전적]
이 중의 한 렴을 살펴보면, 안짝과 바깥짝의 각 우수(偶數) 글자의 음운(音韻)의 높낮이가 가위다리 모양으로 서로 어긋나게 끼어 서로 바뀌게 되도록 하는 법.
십이렴(十二簾)[화전가2 13 페이지 / 전적]
이 중의 한 렴을 살펴보면, 안짝과 바깥짝의 각 우수(偶數) 글자의 음운(音韻)의 높낮이가 가위다리 모양으로 서로 어긋나게 끼어 서로 바뀌게 되도록 하는 법.
십이목(十二牧)[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으로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십이무산(十二巫山)[낙지가 3 페이지 / 전적]
열 두 봉우리가 있는 무산
십이부경(十二部經)[권왕가 32 페이지 / 전적]
십이분경(十二分經). 불교 경전의 형태를 형식이나 내용에 따라 열둘로 나눈 것. 그중 셋은 경문(經文)의 형식에서, 나머지 아홉은 경문의 내용면으로 분류한 것임.
십이삭(十二朔)[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4 페이지 / 전적]
열두 달.
십이상관[친목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높게 솟아 우뚝한 모습의 뜻인 듯. 뜻이 애매함.
십이시(十二時)[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하루를 12 등분하여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여 일컫는 열두 시.
십이시(十二時)[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열두 시간.
십이시(十二時)[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각각 붙여 일컫는 열두시.
십이시(十二時)[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여 이르는 시간.
십이시(十二時)[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각각 붙여 일컫는 열두시.
십이시(十二時)[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여 이르는 시간.
십이왕(十二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왕(十王) 또는 십대왕(十大王)-저승에서 염라대왕을 포함해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전륜대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