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송(私訟)[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사사로운 송사. 개인의 송사.
사송(私訟)[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사사로운 송사. 개인의 송사.
사송(賜送)[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임금께서 신하에게 물건을 내려 보냄.
사송(賜送)[뎡슝샹회방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 신하에게 물건을 내려보내던 일.
사수(泗水)[붕우츠회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산동성에서 발원하여 강소성을 거쳐 회수로 들어가던 강. 공자가 이 근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으므로 전하여 공자의 학을 이름.
사수(泗水)[도덕구가 1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에서 발원하여 강소성을 거쳐 회수로 들어가던 강. 공자가 이 근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으므로 전하여 공자의 학을 이름.
사수(泗水)[영산초장이라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고향을 흐르는 물. 바뀌어 공자의 학(學)을 말하기도 함.
사수(泗水)[도덕가라 2 페이지 / 전적]
공자의 고향을 흐르는 물. 바뀌어 공자의 학(學)을 말하기도 함.
사수(泗洙)[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수사(洙泗).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수수 강(洙水江)과 사수 강(泗水江)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수(泗洙)[권션지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고향에 흐르고 있는 강 이름.
사숙(私淑)[낙지가 10 페이지 / 전적]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배움을 이룸.
사숙(私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7 페이지 / 전적]
「私淑」-그 學을 崇仰하면서 미쳐 從學하지 못한 것을 이름.孟子 離婁에「予未得爲孔子從也 予私淑諸人也」라 하였음.
사숙(私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83 페이지 / 전적]
「私淑」-孟子 離婁篇의 「子未得爲孔子從也 子私淑諸人也」에 근거한 말인데 이를테면 「내가 친히 孔門에 受業은 못했고 다만그 學을 傳하는 이에게 得聞하여 내몸을 善하게 할 뿐이다」라는 뜻임 그래서 지금 受業을 못하고 그 사람을 崇仰하는 경우 私淑弟子라 칭함。
사숙제인(私淑諸人[인여가(引轝歌) 4 페이지 / 전적]
맹자가 공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했으면서도 스승으로 삼음을 말함.
사숙제인(私淑諸人[인여가(引轝歌) 4 페이지 / 전적]
맹자가 공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했으면서도 스승으로 삼음을 말함.
사숙제인(私淑諸人[인여가(引轝歌) 4 페이지 / 전적]
맹자가 공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했으면서도 스승으로 삼음을 말함.
사순(四旬)[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5 페이지 / 전적]
마흔살 또는 사십대의 나이.
사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3 페이지 / 전적]
「逐鹿」―秦나라가 망할 때에 나온 말인데 鹿으로써 帝位에 비유한 것임. 史記淮陰侯列傳에「秦失其鹿天下共逐之 於是 高材疾足者 先得之」라 하였음.
사슴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一鹿」- 史記 淮陰侯列傳에「秦失其鹿 天下共逐之 於是 高材 疾足者 先得焉」이라 하였음. 秦鹿의 用語가 여기에서 起因된것임.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는〔指鹿爲馬[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51 페이지 / 전적]
진(秦) 나라의 간신인 조고(趙高)가 권력을 독단하기 위하여 이세황제(二世皇帝)를 속여서 한 말. 조고는 이세황제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말이라고 말하자, 이세황제가 여러 신하들에게 물으니, 혹은 사슴이라고 옳게 말하는 자가 있었으나, 혹은 조고의 비위를 거슬리기 어려워하여 침묵을 지키거나 말이라고 대답하는 자가 있었다. 그후 조고는 이 때 사슴이라고 말한 자를 골라 은밀히 제거하니, 이후로 신하들은 감히 그의 말을 거역하는 자가 없게 되었다.《史記 卷六 秦始皇本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