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생동거(死生同居)[명륜가(明倫歌) 101 페이지 / 전적]
‘죽어서나 살아서나 늘 함께 있다’는 뜻으로, ‘다정한 부부 사이’를 일컫는 말.
사생동거(死生同居)[신절가(臣節歌) 5 페이지 / 전적]
죽어서나 살아서나 늘 함께 있다는 뜻으로, 다정한 부부(夫婦) 사이를 일컫는 말.
사생동거(死生同居)[신도가(臣道歌) 1 페이지 / 전적]
죽어서나 살아서나 늘 함께 있다는 뜻으로, 다정한 부부(夫婦) 사이를 일컫는 말.
사생동고(死生同苦)[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4 페이지 / 전적]
죽고 삶을 함께 함. 곧 어떤 어려움도 같이 나눔을 이르는 말.
사생동고(死生同苦)[창덕가2 67 페이지 / 전적]
죽는 것도 같이할 정도(程度)로 어떤 어려운 고생(苦生)도 같이함을 일컫는 말
사생동고(死生同苦)[창덕가2 68 페이지 / 전적]
죽는 것도 같이할 정도(程度)로 어떤 어려운 고생(苦生)도 같이함을 일컫는 말
사생재천(死生在天)[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죽고 사는 것은 하늘에 달려 있음.
사생존망(死生存亡)[추월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사존망(生死存亡)이 바른 표현이며, 살아서 존재하는 것과 죽어서 없어지는 것.
사생존망(死生存亡)[말이타국원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 있음과 죽어 없어짐.
사생종만(死生終亡)[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죽었는지 살았는지.
사서(四書)[화전가1 3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대학(大學). 삼경(三經) :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사서(四書)[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대학(大學). 삼경(三經) :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사서삼경(四書三經)[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칠서(七書). 유교의 경전인 논어(論語)․맹자(孟子)․중용(中庸)1대학(大學)의 사서와 시경(詩經)·서경(書經)·주역(周易)의 세 경서(經書).
사서삼경(四書三經)[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서와 삼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서삼경(四書三經)[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사서인
사서삼경(四書三經)[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9 페이지 / 전적]
사서와 삼경을 아우르는 말로,
사서삼경(四書三經)[오윤가 9 페이지 / 전적]
사서와 삼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사서삼경(四書三經)[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 곧 사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을 말하며, 삼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을 이름.
사서삼경(四書三經)[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사서와 삼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의 세 경서를 이름.
사서삼경(四書三經)[칠여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 곧 사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을 말하며, 삼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을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