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천수(天水)[한흥가라 47 페이지 / 전적]

빗물.

천수(天水)[한양가라 46 페이지 / 전적]

빗물.

천수(天水)[형제이회가(형이회가) 3 페이지 / 전적]

톈수이. 중국 간쑤 성(甘肅省) 동남부 웨이수이(渭水) 강에 면하여 있는 상업 도시.

천수(天水)[형제이회가(형이회가) 3 페이지 / 전적]

톈수이. 중국 간쑤 성(甘肅省) 동남부 웨이수이(渭水) 강에 면하여 있는 상업 도시.

천수(遷授)[흥비가 8 페이지 / 전적]

저절로 굴러들어 옴.

천수淺水[ 1 페이지 / ]

얕은 물. 물이 담긴 밑바닥이 물의 표면에 영향을 줄 정도로 낮은 물

천수경(千手經)[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4 페이지 / 전적]

관세음보살이 부처에게 청하여 허락을 받고 설법한 경전이다.본래 명칭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 菩薩廣大圓滿無崖大悲心大陀羅尼經》으로, ‘한량 없는 손과 눈을 가지신 관세음보살이 넓고 크고 걸림없는 대자비심을 간직한 큰 다라니에 관해 설법한 말씀’이라는 뜻이다.《천수다라니》라고도 한다.

천수경(千手經)[연행별곡(연별곡) 24 페이지 / 전적]

관세음보살이 부처에게 청하여 허락을 받고 설법한 경전이다.본래 명칭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 菩薩廣大圓滿無崖大悲心大陀羅尼經》으로, ‘한량 없는 손과 눈을 가지신 관세음보살이 넓고 크고 걸림없는 대자비심을 간직한 큰 다라니에 관해 설법한 말씀’이라는 뜻이다.《천수다라니》라고도 한다.

천수만복(天壽萬福)[리행소챙가 24 페이지 / 전적]

타고난 수명을 다 누리는 큰 복을 가짐.

천수만한(千愁萬恨)[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4 페이지 / 전적]

온갖 시름과 한.

천수만한(千愁萬恨)[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2 페이지 / 전적]

이것저것 슬퍼하고 원망(怨望)함. 또는, 그 슬픔과 한(恨).

천수만한(千愁萬恨)[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2 페이지 / 두루마리]

이것저것 슬퍼하고 원망함. 그런 슬픔과 한.

천수만한(千愁萬恨)[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이것저것 슬퍼하고 원망함. 그런 슬픔과 한.

천수만한(千愁萬恨)[차운 6 페이지 / 전적]

천 가지나 되는 수심과 만 가지나 되는 한스러움이니, 온갖 수심과 한스러움을 말함.

천수만한(天壽萬恨)[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이것저것 슬퍼하고 원망함. 또는 그런 슬픔과 한.

천수부귀탈빈가(天授富貴脫貧歌)[천수부귀탈빈가(天授富貴脫貧歌) 4 페이지 / 전적]

하늘이 내려준 부귀로 가난을 벗어남을 노래함.

천순(天順) 계미년(癸未年)[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1 페이지 / 전적]

천순(天順)은 명나라 영종(英宗)의 연호, 계미년은 1463(세조 9년)임.

천시(天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낮과 밤, 더위와 추위 등과 같이 때를 따라 돌아가는 자연 현상.

천시(天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도움이 있는 시기. 또는, 낮과 밤, 더위와 추위 등과 같이 때를 따라 돌아가는 자연 현상.

천시(天時)[근농가(勤農歌) 3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도움이 있는 때. 때를 따라서 돌아가는 자연현상. 곧 계절, 밤과 낮, 더위와 추위 따위를 이른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