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천심(天心)[충효가(忠孝歌) 9 페이지 / 전적]

하늘의 이치에 맞는 마음.

천심淺深[ 1 페이지 / ]

깊고 얕음.

천안(天顔)[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얼굴.

천안(天顔)[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얼굴.

천안(天顔)[한흥가라 79 페이지 / 전적]

용안(龍顔).

천안(天顔)[한흥가라 79 페이지 / 전적]

용안(龍顔).

천안(天顔)[한흥가라 79 페이지 / 전적]

용안(龍顔).

천안(天顔)[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얼굴을 높여 부르는 말.

천안(天顔)[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얼굴을 높여 부르는 말.

천안(天顔)[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얼굴을 높여 부르는 말.

천안(天顔)[조선충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얼굴.

천안(天顔)[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용안(龍顔), 임금의 얼굴을 높여 이르는 말.

천암만학(千巖萬壑)[성산별곡 7 페이지 / 전적]

수많은 바위와 골짜기. 즉 깊은 산속을 형용한 말.

천애(天涯)[ 1 페이지 / ]

천애 지각 天涯地角. 하늘의 끝과 땅의 귀퉁이.아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른다.

천애(天涯)[별교사(별교)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의 끝이 닿는 땅의 한 귀퉁이라는 뜻으로, 아득하게 멀리 떨어진 낯선 곳.

천애(天涯)[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의 끝이 닿는 한 귀퉁이. 아득히 멀리 떨어져 낯선 곳을 이르는 말.

천애(天涯)[셔유곡 21 페이지 / 전적]

까마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천애(天涯)[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까마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을 비유.

천애(天涯)[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까마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을 비유.

천애(天涯)[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의 끝, 까마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