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까만 깟신[효부가 18 페이지 / 전적]

검정 가죽으로 만든 좋은 신.

까무잡잡[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약간 짙게 까무스름함.

까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7 페이지 / 전적]

「扺鵲」―玉이 흔하다는 말임. 莊子에 崑山之玉 可以扺鵲」이있음.

까투리[자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암꿩.

까투리[소상팔경가 5 페이지 / 전적]

암꿩.

까투리[자치가 4 페이지 / 전적]

암꿩.

깍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5 페이지 / 전적]

콩 따위의 꼬투리에서 알맹이를 까낸 껍질.

깍지손[한흥가라 18 페이지 / 전적]

활깍지. 활을 쏠 때에 시위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의 아랫마디에 끼는 뿔로 만든 기구. 대롱을 엇비스듬하게 자른 모양으로 만듦.

깍지손[한흥가라 18 페이지 / 전적]

활깍지. 활을 쏠 때에 시위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의 아랫마디에 끼는 뿔로 만든 기구. 대롱을 엇비스듬하게 자른 모양으로 만듦.

깍지손[한흥가라 18 페이지 / 전적]

활깍지. 활을 쏠 때에 시위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의 아랫마디에 끼는 뿔로 만든 기구. 대롱을 엇비스듬하게 자른 모양으로 만듦.

깍지손[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활시위를 잡아당길 때 엄지손가락에 끼는 기구.

깐동동 다른이[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깐동한동 내달으니. 건둥건둥 달려가니. ‘깐동하다’ 는 ‘간동하다’ ‘건둥하다’의 센말.

깨강정 콩강정[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깨를 묻힌 강정. 볶은 콩을 엿으로 버무려 뭉친 강정.

깨우침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警予」―書經 大禹謨에 「洚水警予 成允成功惟汝賢」이란 대문이 있음.

깨쳐디[셕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깨쳐지내. 깨쳐나서.

꺼덕꺼덕[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분수없이 잘난 체하며 매우 버릇없이 교만하게 자꾸 행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꺾인 창……알겠고[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84 페이지 / 전적]

유물 조각을 보고 지난날의 일을 안다는 뜻.《杜牧 赤壁詩》에 ‘꺾인 창 모래에 잠겼어도 쇠는 썩지 않아 그것을 가지고 전조의 일을 아누나.〔折戟沆沙鐵未消 自將磨洗認前朝〕‘ 하였음.

꼬부지고[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을 앞으로 고부리다는 ‘고푸리다’의 뜻.

꼭두상투[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꼭뒤상투의 오기(誤記). 꼭뒤상투는 뒤통수 한가운데에 튼 상투.

꼽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3 페이지 / 전적]

「眼花」―눈꼽을 말함。杜甫의 飮中八仙歌에「知章騎馬似乘船眼花落井水底眠」의 句가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