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공방독침(空房獨枕)[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빈방의 외로운 베개라는 뜻으로 외롭게 혼자 잠을 이르는 말.
공방독침(空房獨枕)[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빈방의 외로운 베개라는 뜻으로 외롭게 혼자 잠을 이르는 말.
공방신[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2 페이지 / 전적]
공방(工房)에서 만든 신.
공방신[인택가(仁宅歌) 1 페이지 / 전적]
공방(工房)에서 만든 신.
공방아전(工房衙前)[아림가(娥林歌) 2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각 지방 관아의 공방(工房)에 속하여 공전(工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구실아치.
공벌(攻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공격하여 정벌함.
공벽(共湢)하여 불욕(不浴)하며[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목욕을 함께 아니하며.
공벽(共湢)하여 불욕(不浴)하며[거취가(去取歌) 1 페이지 / 전적]
목욕을 함께 아니하며.
공벽(孔壁)[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살던 집의 벽.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이 벽 속에서 고문(古文)으로 된 『예기』, 『논어』, 『효경』등 수십 편의 책이 발견되었음.
공벽(孔壁)[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살던 집의 벽.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이 벽 속에서 고문(古文)으로 된 『예기』, 『논어』, 『효경』등 수십 편의 책이 발견되었음.
공변되게[권왕가 27 페이지 / 전적]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사사롭지 않고 공평하게.
공변된[론학가권지일 21 페이지 / 전적]
행동이나 일 처리가 사사롭거나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공변된[론학가권지일 21 페이지 / 전적]
행동이나 일 처리가 사사롭거나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공변된[녁대가(녁가) 13 페이지 / 전적]
행동이나 일 처리가 사사롭거나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공보(孔父)[송강집(松江集二)2 83 페이지 / 전적]
공소보(孔巢父)를 이름인데 일찌기 이백(李白)과 더불어 죽계육일(竹溪六逸 의 한 사람으로 벼슬을 사하고 돌아가 숨어 살았음.
공보문백(公父文伯)[냥신낙사가(냥신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노(魯)나라 계강자(季康子)의 종부형제(從父兄弟).
공보문백(公父文伯)[냥신낙사가(냥신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노(魯)나라 계강자(季康子)의 종부형제(從父兄弟).
공복제(公服制)[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신분에 따라 옷의 색깔을 달리해 입는 제도.
공봉비오[착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공부(孔夫)[팔도안희가 18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 BC551-BC479)를 달리 부르는 말로 공부자(孔夫子)를 줄여서 공부(孔夫)라고 한다. 중국 춘추시대의 철학자, 사상가이며, 유교의 비조(鼻祖)이다. 뒤에 그의 제자(弟子)들이 그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해 놓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