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공명조(共命鳥)[자책가(가) 14 페이지 / 전적]
동명조(同命鳥). 꿩의 일종이라 함. 하나의 몸에 두 머리를 가지고 있어 명을 같이하는 새라고도 함.
공명첩(空名帖)[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55 페이지 / 전적]
받은 사람의 이름을 적어 넣지 않은 백지 임명장. 임란 때 군공을 세웠거나 곡식을 기부한 경우 그 댓가로 준 데서 기원함. 여기에는 관명, 관작의 임명장인 공신고신첩, 양역의 면제를 인정하는 공명면역첩, 천인의 천역을 면제한 공명면천첩, 향리에게 향리의 역을 면제하여주는 공명면향첩 등이 있다
공모(共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3 페이지 / 전적]
둘 이상(以上)이 같이 일을 꾀함.
공문거(孔文擧) 망년지우(忘年之友)[ 1 페이지 / ]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 공융(孔融). ‘문거(文擧)’는 그의 자임. 망년우(忘年友). 노인이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사귀는 젊은 벗.
공문거(孔文擧) 망년지우(忘年之友)[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3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 공융(孔融). ‘문거(文擧)’는 그의 자임. 망년우(忘年友). 노인이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사귀는 젊은 벗.
공문거(孔文擧), 망년지우(忘年之友)[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6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 공융(孔融).‘문거(文擧)’는 그의 자임, 망년우(忘年友). 노인이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사귀는 젊은 벗.
공문거(孔文擧), 망년지우(忘年之友)[자경별곡 16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 공융(孔融). ‘文擧’는 그의 자임. 망년우(忘年友). 노인이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사귀는 젊은 벗.
공문거(孔文擧), 망년지우(忘年之友)[권학가 1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 공융(孔融). ‘文擧’는 그의 자임. 망년우(忘年友). 노인이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사귀는 젊은 벗.
공문거족(公門巨族)[여행록이라(여녹이라) 18 페이지 / 전적]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공문자(孔門子)[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
공문자(孔門子)[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
공민왕(恭愍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6 페이지 / 전적]
고려 제31대 왕(1330~ 1374)으로 이름은 전(顓), 호는 이재(怡齋)·익당(益當)이다. 왕위에 오른 뒤 중국 원나라를 배척하고 친원파(親元派)인 기씨(奇氏) 일족을 제거하였다. 쌍성총관부를 폐지하였으며, 빼앗긴 영토를 수복하여 국위를 떨쳤으나 나중에는 정치를 그르치고 마침내 최만생(崔萬生)과 홍윤(洪倫)에게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1351~1374년이다.
공민왕(恭愍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2 페이지 / 전적]
고려 제31대 왕(1330~ 1374)으로 이름은 전(顓), 호는 이재(怡齋)·익당(益當)이다. 왕위에 오른 뒤 중국 원나라를 배척하고 친원파인 기씨 일족을 제거하였다. 쌍성총관부를 폐지하였으며, 빼앗긴 영토를 수복하여 국위를 떨쳤으나 나중에는 정치를 그르치고 마침내 최만생(崔萬生)과 홍윤(洪倫)에게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1351~1374년이다.
공박(攻駁)[간양되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잘못을 몹시 따지고 공격함.
공박(攻駁)[조심가라 21 페이지 / 전적]
남의 잘못을 몹시 따지고 공격함.
공박(攻駁)[간양되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잘못을 몹시 따지고 공격함.
공박(攻駁)[조심가라 21 페이지 / 전적]
남의 잘못을 몹시 따지고 공격함.
공방(空房) 황량몽(黃梁夢) 한단지몽(邯鄲之夢)[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2 페이지 / 전적]
빈방. 오랫동안 남편 없이 아내 혼자서 거처하는 방. 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의 준말. 한단지몽(邯鄲之夢)을 가리킴. 노생(盧生)이 한단 땅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서 잠을 자며 80년간의 영화로운 꿈을 꾸었는데, 깨고 보니 여옹이 누른 조밥을 짓는 사이였다는 고사로서, 인생과 영화 (榮華)의 덧없음을 비유한 말.
공방독숙(空房獨宿)[슈절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독수공방(獨守空房).
공방독숙(空房獨宿)[슈절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독수공방(獨守空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