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황염(救荒鹽)[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1 페이지 / 전적]
흉년에 굶주림을 구제하는데 쓰는 소금. 매년 구황에 쓰인 소금을 제외하곤 모두 곡물로 바쳐 군자(軍資)에 충당하였음.
구황촬요(救荒撮要)[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3 페이지 / 전적]
1554년 명종 9년에 간행된 흉년에 대비한 내용의 책.
구회(久懷)[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랜 회포.
구회(久懷)[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랜 회포.
구회(舊懷)[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지난날을 생각하고 그리는 마음.
구회(舊懷)[회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지난날을 생각하고 그리는 마음.
구후(九侯)[녁대가(녁가) 17 페이지 / 전적]
은나라 주왕(紂王)을 보좌하던 삼공(三公) 중 한명. 주왕(紂王)은 구후의 딸이 매우 아름답다는 소식을 듣고 강제로 데려와 비에 책봉했으나 그녀는 주왕의 음탕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채 노여움을 사서 죽임을 당했음.
구휴(九畦), 팔괘(八卦)[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5 페이지 / 전적]
홍범구주(洪範九疇)의 준말로 이르는 구주(九疇). 아홉 가지 정치도덕의 원칙, 중국 상고시대에 복희씨(伏羲氏)가 지었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괘(卦).
구휼(救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빈민이나 이재민에게 금품을 주어 구제하는 것.
구휼(救恤)[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구제하다.
구휼(救恤)[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사회적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을 당한 사람이나 빈민에게 금품을 주어 구제함.
구휼(救恤)[용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사회적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을 당한 사람이나 빈민에게 금품을 주어 구제함.
구휼(救恤)[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4 페이지 / 전적]
빈민(貧民)이나 이재민(罹災民) 등(等)에게 금품(金品)을 주어 구조(救助)함.
구분파[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구대분파(九代分派). 구대에서 갈린 우리 파족(派族).
구비[ 1 페이지 / ]
궂은비. 여러 날 구질구질 오는 비.
구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6 페이지 / 전적]
구택(舊宅)에, 옛집에.
국가상서(國家祥瑞)[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에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
국가상서(國家祥瑞)[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에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
국가창영(國家昌榮)[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나라가 번창하고 영화로움.
국경인(鞠景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1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반란자(?~1592).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무리를 모아 반란을 일으키고, 회령에 피란 와 있던 두 왕자 임해군, 순화군(順和君)을 왜군에 넘겨준 뒤 유생들에게 살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