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구학(丘壑)[석천집(石川集二-五)2-5 147 페이지 / 전적]

언덕과 구렁. 속세를 떠난 곳.

구학(溝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9 페이지 / 전적]

「溝壑」-溪谷을 말함. 孟子 滕文公篇에 『志士不忘在溝壑 勇士不忘喪其元』이란 대문이 있음.

구학(溝壑)[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움쑥하게 팬 땅인 구렁을 말함.

구학(溝壑)[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움쑥하게 팬 땅인 구렁을 말함.

구학丘壑[ 1 페이지 / ]

언덕과 골짜기의 뜻으로 은자隱者의 주거住居, 또는 그 즐거움을 비유함

구허날무(構虛捏無)[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터무니없는 말을 만들어 냄.

구허호흡법(?噓呼吸法)[회경가 3 페이지 / 전적]

심호흡의 일종을 가리킴

구현[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평안남도 중화군에 위치한 지명

구형(求刑)[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형벌을 줄 것을 요구함.

구형왕(仇衡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8 페이지 / 전적]

금관가야의 제10대 왕(?~?). 구충왕(仇衝王)이라고도 한다. 532년 신라 법흥왕이 쳐들어올 때 항복하였다.

구형왕(仇衡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금관가야의 제10대 왕(?~?)으로 구충왕(仇衝王)이라고도 한다. 532년 신라 법흥왕이 쳐들어올 때 항복하였다. 재위 기간은 521~532년이다.

구호(救護)[오윤가 13 페이지 / 전적]

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 보호함.

구호(舊好)[규중여자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부터 다정하게 지내던 사이.

구혼(求婚)[사친가2(思親歌(二)) 3 페이지 / 전적]

혼인할 자리를 찾는 것. 또는, 결혼을 청하는 것.

구혼(求婚)[동상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결혼할 상대자를 구함. 결혼을 청함.

구혼(求婚)[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결혼할 상대자를 구함.

구홍(具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2 페이지 / 전적]

두문동 72현 중 한명으로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킨 충신으로 유명하다. 호는 송은(松隱)이었다. 1379년 밀직부사가 되었고, 1388년 창왕의 제위기에 우정승(右政丞)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의를 지켰다. 1403년(태종 3년) 사후 좌정승(左政丞)에 추증되었다.

구화 방편(漚和方便)[권왕가 62 페이지 / 전적]

선교 방편(善巧方便). 부처가 임기응변으로 사람을 인도하는 기묘한 방법.

구황(救荒)[석천집(石川集二-三)2-3 103 페이지 / 전적]

기근(飢饉)이나 흉년의 어려움을 구제해 주는 일.

구황(求荒)[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6 페이지 / 전적]

가뭄이나 홍수 등의 재앙이 들 때 이를 구호하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