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교자(交子)노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교잣상 놓고.

교자(敎子)[부덕가(婦德歌) 3 페이지 / 전적]

자식을 가르침.

교자(轎子)[동국조선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종일품 이상의 벼슬아치와 기로소(耆老所)의 당상관(堂上官)이 타던 가마.

교자(轎子)[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앞뒤로 두 사람씩 하여 어깨에 메고 천천히 가는 가마.

교자(轎子)[태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평교자(平轎子)와 같은 말로 조선시대에 종일품 이상 및 기로소(耆老所)의 당상관이 타던 가마.앞뒤로 두 사람씩 네 사람이 낮게 어깨에 메고 천천히 다녔음.

교자(驕恣)[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교만하고 방자함.

교자(驕恣)[경장가(敬長歌) 7 페이지 / 전적]

교만하고 방자함.

교자(驕恣)[유례가(幼禮歌) 1 페이지 / 전적]

교만하고 방자함.

교자군(轎子)[회경가 6 페이지 / 전적]

가마를 이끄는 사람, 교자꾼 혹은 교군이라고 함

교자배(轎子陪)[회혼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높은 벼슬아치가 탄 가마를 따라다니던 하인.

교자불선(敎子不善)[명륜가(明倫歌) 93 페이지 / 전적]

자식을 가르쳐도 선하지 않음.

교전비(轎前婢)[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5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데리고 가던 계집종.

교전비(轎前婢)[신힁가라 4 페이지 / 전적]

옛날에 혼례(婚禮)를 치른 신부가 시집가면서 함께 데리고 갔던 여자종. 신부가 처음 출가(出嫁)하면 시댁(媤宅)의 제반 행사에 서투르고 예의범절(禮儀凡節)에 익숙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런 일을 익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계집종을 신부와 함께 딸려 보내 돌보게 하였던 것임. 이러한 풍습은 조선 시대 양반이나 부유층 사이에 널리 성행하였음.

교전비(郊餞婢)[사친가2(思親歌(二)) 13 페이지 / 전적]

멀리 밖에까지 나와서 사람을 전송하는 종.

교정절위(矯情節僞)[경명가(敬命歌) 3 페이지 / 전적]

진심을 숨기고 거짓으로 행하며, 거짓된 행동을 절개로 여김.

교제(敎弟)[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교우(敎友)사이에 자기를 겸손히 가리키는 말.

교제(矯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7 페이지 / 전적]

「矯制」- 矯詔와 같은 말이요, 矯는 託의 뜻인데 制詔를 받들었다 칭탁하고 마구 시행함을 이름. 史記 汲黯傳에 「臣過河南河南貧人 傷水旱 萬餘家 或父子相食 臣謹以便冝指節 發河南倉要 以振貧民 臣請歸節 伏矯制之罪」라 하였음.

교제묘제(交祭廟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16 페이지 / 전적]

郊는 祭天을 이름이요. 廟祭는 祖宗을 祭함을 이름.

교주고슬(膠柱鼓瑟)[명륜가(明倫歌) 4 페이지 / 전적]

비파나 거문고의 기둥을 아교풀로 고착시켜 버리면 한 가지 소리밖에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변통성이 없이 소견이 꼭 막힌 사람’을 이르는 말.

교주도(交州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8 페이지 / 전적]

강원도의 옛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