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지위업시[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지위없이. 임금으로서 위엄(威嚴)과 경계(境界)가 없이.

지은(至恩)[옥단춘전이라 31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

지은지덕(至恩至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와 지극한 덕(德).

지은지덕(至恩至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와 지극한 덕.

지은지덕(至恩至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1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와 지극한 덕(德).

지은지덕(至恩至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와 지극한 덕(德).

지은지덕(至恩至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와 지극한 덕.

지은지덕(至恩至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1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은혜와 지극한 덕(德).

지음(知音)[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음악의 곡조를 잘 앎. 백아(伯牙)는 거문고를 잘 타고 벗 종자기(鍾子期)가 그 소리를 잘 알았다함.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데서 유래한 고사. 마음이 통하는 친한 벗.

지음(知音)[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0 페이지 / 두루마리]

음(音)을 앎. 마음을 잘 알아주는 친한 벗을 이르는 말. 백아(伯牙)가 타는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악상(樂想)을 일일이 알아맞혔다는 종자기(鍾子期)와의 옛 고사에서 유래함.

지음知音[ 1 페이지 / ]

자기를 알아주는 친구. 종자기종자기가 친구 백아백아가 타는 거문고의 악사악상을 다 알아 맞힌데서 나온 말.

지의산(智義山)[옥설가 47 페이지 / 전적]

지리산(智異山).

지이[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4 페이지 / 전적]

턱을 고이고 사색에 잠기는 것.

지이불행(知而不行)[명륜가(明倫歌) 36 페이지 / 전적]

알고도 행하지 못함.

지이인하(地邇人遐)[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3 페이지 / 전적]

사는 곳은 가까우나 사람은 멀리 있음. 즉, 가까이 살아도 잘 만날 수 없음을 말함.

지이인하(地邇人遐)[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2 페이지 / 두루마리]

땅은 가깝고 사람은 멂.

지이인하(地邇人遐)[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땅은 가깝고 사람은 멂.

지인달사(至人達士)[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더없이 덕이 높고 이치에 밝아서 사물에 얽매여 지내지 아니하는 사람.

지인달사(至人達士)[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더없이 덕이 높고 이치에 밝아서 사물에 얽매여 지내지 아니하는 사람.

지인위사指蚓爲蛇)[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5 페이지 / 전적]

지렁이를 가리켜 뱀이라고 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