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심여로다[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무엇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인 심열(心熱)을 기울이도다.

심온(沈溫)[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부친.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으로 추증됨.

심온(沈溫)[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부친.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으로 추증됨.

심온(沈溫)[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부친.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으로 추증됨.

심온(沈溫)[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소헌왕후심씨의 친정아버지.

심원도……부르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76 페이지 / 전적]

심원은 설레이는 마음을 말함.《參同契》의 주에 ‘심원이 안정되지 못하고 의마(意馬)가 사방으로 달려 신기(神氣)가 밖으로 흩어진다.‘ 하였음. 산산(山山)은 출(出) 자의 파자(破字)로서 마음이 밖으로 나가고 싶다는 것임.

심유격(沈游擊)[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9 페이지 / 전적]

명나라 장수 심유경(沈惟敬)을 말함. 그는 자천하여 일본과 교섭하여 사태수습에 힘쓰겠다하여 유격(遊擊)의 직임을 띠고 조선에 들어와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강화회담을 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술(詐術)을 부린 것이 드러나 본국에 압송되어 참형에 처해졌다.

심유경(沈惟敬)[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45 페이지 / 전적]

일본군과 강화를 담당했던 명나라 군인 당시 직책은 유격이었다.

심유경(沈惟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의 사신(?~1597). 임진왜란 때 조선에 와 일본과의 화의를 위하여 여러 차례 일본을 왕래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런 사실을 숨기고 화의가 성립되었다고 보고하였다가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처형되었다.

심의(深衣)[송강집(松江集三)3 78 페이지 / 전적]

유복(儒服)의 일종. 禮記 深衣篇에「短無見膚長無被土」

심의겸(沈義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0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35~1587). 자는 방숙(方叔). 호는 손암(巽菴)ㆍ간암(艮菴)ㆍ황재(黃齋). 이황의 문인으로 대사헌을 지냈으며, 김효원을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과 대립하여 서인과 동인으로 갈라진 것이 당쟁의 시초가 되었다.

심의겸(沈義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35~1587). 자는 방숙(方叔). 호는 손암(巽菴)ㆍ간암(艮菴)ㆍ황재(黃齋). 이황의 문인으로 대사헌을 지냈으며, 김효원을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과 대립하여 서인과 동인으로 갈라진 것이 당쟁의 시초가 되었다.

심의겸(沈義謙, 중종 30, 1535~선조 20, 1587)[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5 페이지 / 전적]

자는 방숙(方叔), 호는 손암(巽菴).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강(鋼)의 아들, 명종비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이황의 문인으로 1562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좌랑, 교리, 지평, 좌부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그는 구세력을 대표하는 척신출신이지만 사림들에게 명망이 높았다. 이 무렵 김종직 계통의 신진세력 김효원(金孝元)이 정계에 등장하여 신구세력의 갈등과 대립으로 심의겸을 중심으로 한 구세력이 서인이 되고, 김효원을 중심으로 한 신진세력이 동인이 되어 동서분당이 발생했다.

심이(甚異)[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0 페이지 / 전적]

매우 다름.

심이방(沈吏房)[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이방(吏房)은 지방의 아전(衙前)을 말한다.

심이여회(如灰)[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 속이 타버린 재와 같아서.

심인도합(尋人道合)[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4 페이지 / 전적]

사람을 찾고 도를 합하다.

심장적구(尋章摘句)[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옛 책이나 글을 읽으며 뜻을 풀이하고, 여기저기에서 글귀를 뽑아 시문을 짓는 일.

심장적구(尋章摘句)[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옛 책이나 글을 읽으며 뜻을 풀이하고, 여기저기에서 글귀를 뽑아 시문을 짓는 일.

심장적구(尋章摘句)[흥비가 6 페이지 / 전적]

옛 사람의 글귀를 따서 글을 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