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승동이 간데없고 승창이 소식없다[자탄가 자탄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승동(承東)은 주인공의 둘째 아들로 동국대를 졸업하고 교수를 지냈는데, 이후 행방이 불명이며, 승창(承昌)은 조카로 월북했다고 함.

승로반(承露盤)[사친곡 7 페이지 / 전적]

한의 무제가 장수약으로 이슬을 받기 위해 만들었다는 동반(銅盤).

승로반(承露盤)[백발가 5 페이지 / 전적]

한 무제가 장수 약으로 이슬을 받기 위해 만든 동반(銅盤).

승로반(承露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承露盤」- 漢書 郊社志에「武帝作柏梁, 銅柱, 承靈 仙人掌之屬」이라 했는데, 註에, 三輔故事를 引用하여「建章宮의 承露盤은 높이가 二十丈이요 크기는 七圍인데 銅으로 만들어졌고 위에는 仙人掌이 있어 이슬을 받아 玉屑을 타서 마신다」하였음. 武帝가 神仙을 좋아하여 壽命을 연장하기 위해 만든 것임.

승로반(承露盤)[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한무제가 장생불사하고자 방사(方士)라는 사람에게 명하여 구리로 높이가 20길이나 되는 신선의상을 만들어놓고, 그 신선의 손위에 옥반(玉盤)을 만들어 이슬을 받아먹었는데 그 이슬을 받아먹던 소반을 말함.

승로반(承露盤)[만수가(만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내리는 장생불사의 감로수를 받아먹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쟁반.

승로반(承露盤)[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한무제가 장생불사하고자 방사(方士)라는 사람에게 명하여 구리로 높이가 20길이나 되는 신선의상을 만들어놓고, 그 신선의 손위에 옥반(玉盤)을 만들어 이슬을 받아먹었는데 그 이슬을 받아먹던 소반을 말함.

승로반(承露盤)[만수가(만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내리는 장생불사의 감로수를 받아먹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쟁반.

승로반(承露盤)[안심가 8 페이지 / 전적]

중국의 한 무제가 불로장생을 위한 이슬을 받기 위해 건장궁(建章宮) 신명대(神明臺)에 설치하였다는 구리 쟁반.

승로반(承露盤)[규중여자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불로장생 할 수 있는 천로(天露)를 받기 위하여 한무제가 세운 동반(銅盤).

승로반(承露盤)[입추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내리는 장생불사(長生不死)의 감로수를 받아먹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쟁반.

승로반(承露盤)[조선충효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내리는 장생불사의 감로수를 받아먹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쟁반.

승로반(承露盤)[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한무제가 장생불사하고자 방사(方士)에게 명하여 구리로 높이가 20 길이나 되는 신선의상을 만들어놓고 그 신선의 손 위에 옥반(玉盤)을 만들어 이슬을 받아먹음.그 이슬을 받아먹던 소반.

승로반(承露盤)[녁대가(녁가) 44 페이지 / 전적]

하늘에서 내리는 장생불사의 감로수를 받아먹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쟁반. 한무제는 건장궁(建章宮)에 높은 구리기둥(銅柱)으로 된 승로반을 만들고, 그 위에 이를 두어서 감로를 받았다고 전해짐.

승로반(承露盤)[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한무제가 장생불사하고자 방사(方士)에게 명하여 구리로 높이가 20 길이나 되는 신선의상을 만들어놓고 그 신선의 손 위에 옥반(玉盤)을 만들어 이슬을 받아먹음.그 이슬을 받아먹던 소반.

승로반(承露盤)[역대삼재가라 8 페이지 / 전적]

漢武帝가 세운 銅盤. 선장(仙掌). 건장궁(建章宮)에 백량대(柏梁臺)가 세워지고, 높은 동주(銅柱)에 선인의 손바닥 모양으로 승로반을 만들고, 그 위에 이를 두어서 감로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승룡(乘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2 페이지 / 전적]

「桓家乘龍」― 楚國先賢傳에『孫儁과 李膺이 함께 太尉桓焉의 女에게 장가를 들었는데 當時 사람들이 이르기를 「桓叔元의 두딸이 모두 龍을 탔다」고 했다. 말하자면 龍같은 사위를 얻었다는 것이다』했음. 杜甫詩에「門蘭多喜氣 女婿近乘龍」의 句가 보임. 여기는 金公太容이 선생과 동서간인 때문에 빌려쓴 것이다.

승명(僧名)[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법명(法名). 중이 된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지어준 이름.

승명(僧名)[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2 페이지 / 전적]

①중이 되는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속명(俗名) 대신(代身) 지어 주는 이름.법호(法號) ②불가(佛家)에서 죽은 사람에게 붙여 주는 이름.계명(戒名).

승명(僧名)[연행별곡(연별곡) 12 페이지 / 전적]

①중이 되는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속명(俗名) 대신(代身) 지어 주는 이름.법호(法號) ②불가(佛家)에서 죽은 사람에게 붙여 주는 이름.계명(戒名).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