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승교(乘轎)[북쳔가 39 페이지 / 두루마리]
가마.
승기(勝己)[삼강오륜가 서 12 페이지 / 전적]
재주가 자가보다 나은 사람.
승기자(勝己者)[교훈가 9 페이지 / 전적]
자기보다 나은 사람.
승기자(勝己者)[안심가 8 페이지 / 전적]
자기보다 나은 사람.
승기자(勝己者)[창덕가2 33 페이지 / 전적]
최후로 승리하는 궁궁자(弓弓者)를 말하는 것.
승기자(勝己者)[김씨효행가 26 페이지 / 두루마리]
나를 이긴 사람.
승기자(勝己者)[창덕가2 34 페이지 / 전적]
최후로 승리하는 궁궁자(弓弓者)를 말하는 것.
승기자(勝己者)를 염지(厭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2 페이지 / 전적]
재주가 자기(自己)보다 나은 사람을 싫어함.
승기자(勝己者)를 염지(厭之)하여[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승기자염지(勝己者厭之). 재주가 자기(自己)보다 나은 사람을 싫어함.
승노반(承露盤)[슈절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의 무제(武帝)가 장생불사하기 위해 이슬을 받아 마셨던 잔(盞).
승노반(承露盤)[슈절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의 무제(武帝)가 장생불사하기 위해 이슬을 받아 마셨던 잔(盞).
승노반(承露盤)[소상팔경가 30 페이지 / 전적]
한무제(漢武帝)가 건장궁(建章宮)에 두기 위해 동으로 만든 쟁반.
승당(升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升堂」論語 先進篇에 「若由也升堂矣 未入於室也」라 하였음。
승당(昇堂)[황남별곡(黃南別曲) 18 페이지 / 전적]
마루에 오름.마루에 오른 후 방에 들어가듯 어떤 일에 차례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혹은 스승의 문하에 제자로 들어감을 가리키는 말.
승당(陞堂)[냥신낙사가(냥신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마루에 오름. 마루에 오른 후 방에 들어가듯 어떤 일에 차례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 혹은 스승의 문하에 제자로 들어감을 가리키는 말.
승당(陞堂)[냥신낙사가(냥신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마루에 오름. 마루에 오른 후 방에 들어가듯 어떤 일에 차례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 혹은 스승의 문하에 제자로 들어감을 가리키는 말.
승당입실(升堂入室)[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3 페이지 / 전적]
마루에 올라 방에 들어온다는 뜻으로, 학문이 점점 깊어짐의 비유.
승당입실(升堂入室)[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어떤 분야에 공부를 하다보면 승당(升堂)과 입실(入室) 경지의 수준 차이가 나게 됨.
승당입실(升堂入室)한 자[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5 페이지 / 전적]
마루에 오르고 방 안에 들어가는 것으로 유학의 경지에 조예가 높음을 비유하는 말. 《論語 先進》에 ‘자로(子路)는 이미 마루에는 올랐으나 아직 방안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하였다
승도(僧道)[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23 페이지 / 전적]
스님의 길을 걷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