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설원(雪冤)[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원통한 사정을 풀어 없앰.
설원(雪冤)[거창가라 24 페이지 / 전적]
원통한 사정을 풀어 없앰.
설원(雪冤)[아림가(娥林歌) 26 페이지 / 전적]
원통한 사정을 풀어 없앰.
설원(雪寃)[별교사(별교) 5 페이지 / 두루마리]
원통한 분(憤)을 풀어서 마음에 맺힌 것을 없앰.
설월(雪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7 페이지 / 전적]
「雪月」-晋人 王子猷가 山陰에서 雪月의 良夜를 만나 與이 나서 배를 타고 剡溪의 戴安道를 찾아간 故事가 있어 이를 인용한 것인데, 여시는 반대로 雪月의 밤에 한번도 찾아가지 못했다는 말로 쓴것임.
설인귀(薛仁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장군(613~682). 고구려가 망한 뒤 당나라가 평양에 설치한 안동 도호부의 도호로 부임하였으나, 신라군의 반격으로 세력이 위축되자 신라 문무왕 17년(677)에 도호부를 신성으로 옮겼다.
설잠(雪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5 페이지 / 전적]
「岑老逃空」― 梅月堂 金時習을 말함. 茸長寺란 절이 金鰲山에 있었는데 詩僧雪岺이 일찌기 이 절을 지어 살았다 하였음. 雪岺은 梅月堂의 僧號임.
설장(丈)[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서있는 키.
설장산[타미계라(라미키라) 7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양동마을의 주산(主山).
설장산[타미계라(라미키라) 7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양동마을의 주산(主山).
설전 뵈오리[형제붕우소회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새해 설 전에 뵈옵겠습니다.
설중춘색(雪中春色)[만수가(만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겨울 속의 봄빛.
설중춘색(雪中春色)[만수가(만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겨울 속의 봄빛.
설중한매(雪中寒梅)[대동가(동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눈속에 겨울매화.
설진심사(說盡心事) 무한사(無恨事)[차운 14 페이지 / 전적]
마음속에 들어있는 한 많은 모든 일들을 다 말함. 당나라 문인인 백거이(白居易)가 지은 「비파행(琵琶行)」에 나오는 구절인데, 원시에는 ‘설진심중무한사(說盡心中無限事)’라고 되어 있음.
설진심중 무한사(說盡心中無恨事)[상사가라 8 페이지 / 전적]
마음속에 들어있는 한 많은 모든 일들을 다 말함. 당나라 문인인 백거이(白居易)가 지은 「비파행(琵琶行)」에 나오는 구절인데, 원시에는 ‘설진심중무한사(說盡心中無限事)’라고 되어 있음.
설창산(雪蒼山)[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와 안계리에 걸쳐 있는 산.
설창산(雪蒼山)[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와 안계리에 걸쳐 있는 산.
설청운산(雪晴雲散) 북풍한(北風寒)하니[슈양가 4 페이지 / 전적]
눈이 그치고 구름이 흩어졌으며 북풍이 차가움.
설총(薛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0 페이지 / 전적]
신라 경덕왕 때의 학자(655~?). 자는 총지(聰智). 시호는 홍유(弘儒). 국학(國學)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유학의 발전에 공헌하였으며, 이두(吏讀)를 정리하고 집대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