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설색화용(雪色花容)[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이다.
설색화용(雪色花容)[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이다.
설서(設書)[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세자시강원에서 경사(經史)와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일을 맡아보던 정칠품 벼슬.
설석(設席)[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리를 베풀다.
설석(設席)[문슈동소챵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리를 베풀다.
설설기며[한양가라 91 페이지 / 전적]
남 앞에서 기가 죽어 행동을 자유로이 못하고 순종만 하다.
설설이[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슬슬.
설설이[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슬슬.
설수(雪樹)[석천집(石川集二-五)2-5 172 페이지 / 전적]
눈이 내려 쌓여 있는 숲.
설시(設施)[어와따님요(어와님요) 8 페이지 / 전적]
베풀고 차려 놓음.
설시(設施)[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시설. 도구, 기계, 장치 따위를 베풀어 설비함.
설심주 무한사[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3 페이지 / 전적]
‘설진심중 무한사(說盡心中無限事)’의 잘못. 백거이(白居易)의 <비파행(琵琶行)>에 나오는 시구로, 마음 속에 있는 것을 한 없이 다 말한다는 뜻.
설어[규중여자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낯설다’의 의미.
설옥(雪屋)[석천집(石川集二-五)2-5 174 페이지 / 전적]
눈 속의 집. 눈에 쌓인 집.
설운[추월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서러운.
설운[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러운.
설운[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러운.
설움[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서럽게 느껴지는 마음.
설워하며[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서러워하며.
설원(雪冤)[경노의심곡 17 페이지 / 두루마리]
원통한 분을 풀어서 마음에 맺힌 것을 없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