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귀로히[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하게.

귀로히[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하게.

귀명[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명(器皿). 그릇.

귀몽(歸夢)[ 1 페이지 / ]

고향이나 연고지로 돌아가는 꿈을 꿈, 또는 그 꿈

귀문(貴門)[리행소챙가 40 페이지 / 전적]

지체가 높은 집안, 상대방을 높이어 그 집을 이름.

귀문관(鬼門關)[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으로 들어가는 문.

귀미(敀未)[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9 페이지 / 전적]

미방(남에서 약간 서쪽)으로 들어감.

귀미동[용화출세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전주 귀미동은 불확실하고 금산에 구미란이 있음.

귀미룡담(龜尾龍潭)[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구미산 용담정의 산세와 형상이 태극의 모습을 지니고 있음을 말함. 귀미룡담(龜尾龍潭)은 동학의 창시자인 최수운이 도를 닦고 포교를 시작한 구미산 용담정을 가리킴.

귀부(歸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와서 복종함.

귀부(貴富)[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9 페이지 / 전적]

부귀(富貴)함.

귀부(貴富)[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부귀(富貴)함.

귀부지(鬼不知)[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귀신도 알지 못하는.

귀비(貴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貴妃」- 楊太眞은 唐 永樂人이요 小字는 王環인데 殊色을 지니고 性이 穎悟하여 音律에 밝으며 歌舞를 잘했다. 처음에 玄宗의 十八字 壽王 瑁의 妃로 정했는데 玄宗이 禁中으로 불러들여 女官을 삼고 號를 太眞이라 하여 가깝게 되자 大寵하여貴妃로 冊封하였다. 그래서 권세가 天下를 기울였다. 安祿山이 反하여 玄宗이 蜀으로 쫓겨가면서 馬嵬驛에 이르려, 六軍의 압력으로 마지못해 太眞에 죽음을 내리게 되었음.

귀비(貴妃)[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양귀비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의 비(妃)(719~756)로 이름은 태진(太眞).춤과 음악에 뛰어나고 총명하여 현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안사의 난 때 살해당하였다.

귀비(貴妃)[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양귀비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의 비(妃)(719~756)로 이름은 태진(太眞).춤과 음악에 뛰어나고 총명하여 현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안사의 난 때 살해당하였다.

귀비정령(貴妃精靈)[쟝한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양귀비(楊貴妃)의 영혼.

귀산객(歸山客)[선유가라 19 페이지 / 전적]

산으로 돌아간 손님.곧 '죽음'을 비유.

귀산객(歸山客)[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1 페이지 / 전적]

산으로 돌아간 손님.곧 '죽음'을 비유.

귀상(貴相)[입추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사람이 될 얼굴 생김새. 여기서는 글씨의 생김새를 말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