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귀거래(歸去來)[연행별곡(연별곡) 31 페이지 / 전적]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감.
귀거래(歸去來)[죽엽가(쥭엽가) 1 페이지 / 전적]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감.
귀거래혜(歸去來兮)[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자. 중국 진(晉)나라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사부(辭賦)인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나오는 구절.
귀거래혜(歸去來兮)[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자. 중국 진(晉)나라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사부(辭賦)인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나오는 구절.
귀거사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귀거래사(歸去來辭)임. 중국 진(晉)나라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사부(辭賦).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 지은 것으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전원생활의 즐거움을 동경하는 내 용임.
귀거사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귀거래사(歸去來辭)임. 중국 진(晉)나라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사부(辭賦).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 지은 것으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전원생활의 즐거움을 동경하는 내 용임.
귀곡성(鬼哭聲)[무제(▩▩▩▩) 10 페이지 / 두루마리]
귀신의 울음소리.
귀곡성(鬼哭聲)[무제(▩▩▩▩) 10 페이지 / 두루마리]
귀신의 울음소리.
귀곡자(鬼谷子)[녁대가(녁가) 3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사상가. 영천(潁川)·양성(陽城)의 귀곡지방에 은둔하였기 때문에 귀곡자라고 함. 7국이 패권을 다투던 시대에, 권모술수의 외교책을 우자(優者)의 도(道)라고 주장한 종횡가(縱橫家)였음.
귀골(貴骨)[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사람이 될 만한 인상이나 체격. 또는, 귀하게 자란 사람.
귀국 황제[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44 페이지 / 전적]
명나라 신종.
귀궐(鬼闕)[한양가라 8 페이지 / 전적]
귀신들이 우글거리는 궁궐.
귀귀[句句]이[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구절마다.
귀귀[句句]이[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구절마다.
귀귀[句句]이[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구절마다.
귀근(歸覲)[조씨가천소리 2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서 만남.
귀근(歸覲)[회경가 11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가는 귀성(歸省)을 일컬음
귀글[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한시(漢詩) 따위에서 두 마디가 한 덩이씩 되게 지은 글. 그 한 덩이를 ‘구(句)’라 하고 각 마디를 ‘짝’이라 하는데, 앞마디를 안짝, 뒷마디를 바깥짝이라고 함.
귀글[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한시(漢詩) 따위에서 두 마디가 한 덩이씩 되게 지은 글. 그 한 덩이를 ‘구(句)’라 하고 각 마디를 ‘짝’이라 하는데, 앞마디를 안짝, 뒷마디를 바깥짝이라고 함.
귀글[갑지녹이라 7 페이지 / 전적]
두 마디가 한 덩이로 짝지어져 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