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굿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1 페이지 / 전적]
굿게.
궁·상(宮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5 페이지 / 전적]
「宮商」- 五聲의 宮聲과 商聲을 말한 것임.
궁검(弓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36 페이지 / 전적]
「弓劒」- 史記 封禪書에 「黃帝가 首山의 銅을 캐어 荊山에서 鑄鼎하여 鼎이 이루어지자, 龍이 胡髯을 드리우고 나려와 黃帝를 맞으니 黃帝는 올라타고 羣臣侍從들도 黃帝를 따라 오른 자가 七十餘명이었다.나머지 小臣들은 오르지 못하고 울고 있는데 黃帝는 자기 활과 칼을 떨어뜨렸다」하였음.後人이 임금의 승하를 표시하는 말로써 왔음.
궁검(弓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6 페이지 / 전적]
「弓劒」-임금의 昇遐를 말함. 史記 五帝紀의「黃帝崩註」에 軒轅이 亡日을 自澤하여 羣臣들과 작별하고 돌아와 죽으니 橋山에 葬하였는데 山이 무너지고 棺은 비어있으며 칼과 신발만이 棺에 들었었다」라 했고 史記 封禪書에 「龍이 수염을 드리우고 내려와 黃帝를 맞으니 黃帝는 올라타자 羣臣後宮이 따라오른 자가 七十餘人이었다.
궁경남양(躬耕南陽)[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출사하기 전에 남양에서 몸소 밭을 갈았다는 뜻으로 『출사표(出師表)』에서 나온다.
궁경남양(躬耕南陽)[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출사하기 전에 남양에서 몸소 밭을 갈았다는 뜻으로 『출사표(出師表)』에서 나온다.
궁고빈죽 못사나니[효봉구고치산가 12 페이지 / 전적]
궁고빈죽(窮苦貧粥) 못사나니. 궁핍한 사람들과 허약한 사람들.
궁곤(窮困)[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5 페이지 / 전적]
아주 가난함.
궁곤(窮困)[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활이 궁하고 어려움.
궁곤(窮困)[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3 페이지 / 전적]
딱하고 곤란함.
궁관(宮官)[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궁전에 소속되어 있던 관리.
궁교(窮交)[쳐시영결가 8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미천할 때 사귄 벗.
궁교빈족(窮交貧族)[충효가(忠孝歌) 32 페이지 / 전적]
가난한 무리나 친척들과 사귀어 궁색함.
궁교빈족(窮交貧族)[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가난한 벗과 친척을 아울러 이르는 말.
궁교빈족(窮交貧族)[로인가 13 페이지 / 전적]
가난한 벗과 친척을 아울러 이르는 말.
궁구(窮究)[해몽가라(몽가라) 13 페이지 / 전적]
속속들이 파고들어 깊게 연구함.
궁구(窮究)[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속속들이 파고들어 깊게 연구함.
궁구물리(窮究物理)[충효가(忠孝歌) 32 페이지 / 전적]
사물의 이치를 따져 연구함.
궁굴[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기본형 ‘궁굴다’의 어간으로, 소리가 웅숭깊은 상태를 뜻함.
궁궁을을(弓弓乙乙)[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원래 태극을 뜻하는 것으로 궁을은 인간의 생명을 관장하는 삼태극(무극 태극 황극)을 일컫는 말. 가사작품에서는 후렴구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