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지(口脂)[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연지(臙脂)와 같은 뜻.
구지(求志)[오륜가라 24 페이지 / 전적]
평소(平素)의 자기(自己) 뜻대로 지켜 나가기를 원(願)함.
구지仇池[ 1 페이지 / ]
작은 연못.
구지며[복션화음록 8 페이지 / 전적]
구짖으며. 꾸짖으며.
구진(求珍)[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진수성찬(珍羞盛饌)을 구함.
구진멱실(求眞覓實)[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참을 구하고 진실을 찾음.
구질(丘垤)[황남별곡(黃南別曲) 12 페이지 / 전적]
작은 언덕.
구차(苟且)[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몹시 가난함.
구차(苟且)[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몹시 가난함.
구차(苟且)[김씨효행가 38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몹시 가난함.
구차(苟且)[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0 페이지 / 전적]
몹시 가난하고 궁색(窮塞)함.
구차(苟且)[합강정가(合江亭歌) 14 페이지 / 전적]
몹시 가난하고 궁색(窮塞)함.
구차투생(苟且偸生)[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구차하게 산다는 뜻으로, 죽어야 마땅할 때에 죽지 아니하고 욕되게 살기를 꾀함을 이르는 말.
구차하게 빌어 먹는 사람을[석천집(石川集二-二)2-2 57 페이지 / 전적]
<<맹자>>에 나오는 이야기다. 어떤 제나라 사람이 한 아내와 첩을 데리고 사는데, 날마다 나가서 고기와 술을 배불리 먹고 돌아왔다. 그 아내가 ‘누구와 함께 먹고 마셨느냐‘고 물으면, 모두가 돈 많고 벼슬 높은 사람들이라고 했다. 어느날 그 아내가 일찍 일어나서 남편이 가는 곳을 멀찌감치 쫓아가 보았더니, 성 밖에 있는 무덤 사이에서 제사 지내고 남은 음식을 구걸해 먹고 있었다. 그 남편은 그러고도 집에 돌아와 자기 아내와 첩에게 으시대며 뽐내었다. 맹자는 부귀와 이권을 찾아다니는 세상 사람들이 바로 이와 같다고 비유한 것이다.
구처(區處)[로인가 8 페이지 / 전적]
따로따로 구분하여 처리함. 혹은 변통하여 처리함.
구처(區處)[셔유곡 7 페이지 / 전적]
변통하여 처리함. 또는 그런 방법.
구천(九千)날[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25여 년의 시간을 말함.
구천(九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0 페이지 / 전적]
「九天」―太玄經에 「九天은 一은 中天, 二는 羨天, 三은 從天, 四는 更天, 五는 脺天, 六은 廓天, 七은 減天, 八은 沈天, 九는 成天이라 한다」,했고, 또 九重의 天을 九天이라고도 함. 孫武子에 「善守者 藏於九地之下 善攻者 動於九天之上」이라 하였음.
구천(九天)[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가장 높은 하늘.
구천(九天)[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1 페이지 / 전적]
①중앙(中央) 및 사방(四方), 사우(四隅)의 하늘을 일컫는 말 ②하늘의 가장 높은 곳.하늘 위 ③대지(大地)를 중심(中心)으로 한 아홉 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