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과부(夸父)[자경별곡 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상고(上古) 때 사람, 그에게서 말미암은 ‘과부추일영(夸父追日影)’이라 한 말 은 자기의 힘은 헤아리지 않고 큰일을 기도함을 비유해서 쓰임.

과부(夸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4 페이지 / 전적]

「夸父」- 上古의 人名인데 제힘을 헤아리지 않고 日影을 따르고자 하여 暘谷까지 쫓아갔다가 목이 말라 죽었다. 그 지팡이를 버렸는데 膏肉의 所浸으로 化하여 鄧林이 되었다. 山海經海外北經에 보임

과부(夸父)[ 1 페이지 / ]

중국의 상고(上古) 때 사람, 그에게서 말미암은 ‘과부추일영(?父追日影)’이라 한 말 은 자기의 힘은 헤아리지 않고 큰일을 기도함을 비유해서 쓰임.

과부(夸父)[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상고(上古) 때 사람, 그에게서 말미암은 ‘과부추일영(?父追日影)’이라 한 말 은 자기의 힘은 헤아리지 않고 큰일을 기도함을 비유해서 쓰임.

과부(寡婦[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남편(男便)이 죽어서 혼자 사는 여자(女子). 홀어미.

과부(寡婦[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남편(男便)이 죽어서 혼자 사는 여자(女子). 홀어미.

과부(寡婦)[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9 페이지 / 전적]

남편을 먼저 잃은 홀어미.

과부(寡婦)[대비훈민가 5 페이지 / 전적]

남편(男便)이 죽어서 혼자 사는 여자(女子). 홀어미.

과부(寡婦)[자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편을 잃고 사는 여자.

과불급(過不及)[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능력 따위가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

과불급(過不及)[흥비가 9 페이지 / 전적]

기준에 지나치거나 또는 모자라는 것.

과세(過歲)[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6 페이지 / 전적]

설을 쇰.

과실(過失)[간양되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주의나 태만 따위에서 비롯된 잘못이나 허물.

과실(過失)[간양되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주의나 태만 따위에서 비롯된 잘못이나 허물.

과실뿐닌 갈을[효봉구고치산가 18 페이지 / 전적]

과실(過失)뿐인 바꿀 사람을. ‘갈?을’은 갈을, 바꿀. 원형은 갈하다로 갈다의 뜻인 듯하다.

과약(寡約)[광애가(廣愛歌) 6 페이지 / 전적]

적고 간략함.

과이(過耳)되니[신자가(信字歌) 10 페이지 / 전적]

귀로 지나가니.

과장종사(科場從事)[충효가(忠孝歌) 33 페이지 / 전적]

과장의 일을 따름. 과거 보기 위한 공부를 함.

과정(過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58 페이지 / 전적]

「過庭」-아들에 교훈함을 이름. 論語 季氏에「鯉趨而過庭」이란 대문이 있으므로 이에 근본 된 것임. 夏侯湛文에「承門戶之業受過庭之訓」이 있음.

과지불급(過之不及)[합셩가라 7 페이지 / 전적]

모든 사물(事物)이 정도(程度)를 지나치면 도리어 안한 것만 못함이라는 뜻으로, 중용(中庸)을 가리키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