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영수(靈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1 페이지 / 전적]

「靈脩」―어진이를 칭하는 말인데, 離騷에는 君主에 비하여「怨靈脩之數化」라 하였음.

영수(靈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2 페이지 / 전적]

「靈脩」- 어진 군자를 말함.離騒經에 「怨靈脩之浩蕩兮 終不察夫民心」이란 글구가 있음.

영수(領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9 페이지 / 전적]

여럿 중(中)의 우두머리.

영순하복(永順遐福)[뎡슝샹회방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영원한 큰 행복(幸福)

영숭전(永崇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9 페이지 / 전적]

「永崇殿」―府城內에 있는데 李太祖의 晬容을 奉安한 殿으로 즉 高麗 長樂宮의 舊基이다. 權近의 詩에 「原廟深嚴面勢安五雲飛繞翠松關. 江流滾滾思王澤 天日明明識聖顔」의 句가 있음.

영시불망(永侍不忘)[론학가권지일 24 페이지 / 전적]

영원히 모시는 것을 잊지 않음.

영시불망(永侍不忘)[론학가권지일 24 페이지 / 전적]

영원히 모시는 것을 잊지 않음.

영식(令息)[남은곡 권지단이라 15 페이지 / 전적]

윗사람의 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영신 가절(迎新佳節)[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송구영신(送舊迎新)하는 가절송구영신(送舊迎新)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가절(佳節) : 좋은 철, 또는 좋은 때..

영신(令辰)[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날이나 때.

영신영당(靈神影堂)[명륜가(明倫歌) 33 페이지 / 전적]

영검 있는 신의 화상이나 조각상을 모시어 둔 사당.

영아(嬰兒)[오윤가 26 페이지 / 전적]

젖먹이.

영악(獰惡)[곽씨세덕가문니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모질고 사나움.

영암(靈巖)[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군.

영암(靈巖)[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군.

영암(靈岩)[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한 군으로 동남군계(東南郡界)에 월출산(月出山, 808m)이 솟아 그 줄기가 동반부(東半部)에 중첩해서 구릉(丘陵)을 이루고, 특히 영산강(榮山江) 유역에는 상당히 넓은 저지(低地)가 있다. 바다에 가까운 지대는 대체로 경사지경지(傾斜地耕地)로서 이용되고, 동북으로 흐르는 장성천(長城川), 서쪽에 독천(犢川), 화소천(和所川), 동북쪽에 용두천(龍頭川), 북쪽에 신원진(新元津) 등의 하천은 관개(灌漑)로 이용하고 있으나 주운(舟運)에는 소류(小流)이므로 부적당하다. 원래 백제의 월내군(月奈郡)이었으며 신라 때 영암군(靈岩郡)으로 개명, 993년 낭주(朗州)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되었으며, 1018년 다시 영암군(靈岩郡)으로 고쳤다. 명승고적으로 도갑사(道岬寺), 구림(鳩林), 회사정(會社亭) 등이 있다.

영액(靈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2 페이지 / 전적]

「靈液」 ―精液을 말한 것인데 一種의 液體로 雄性의 生殖器의外腎에서 나오며 그속에는 精虫이 들어있음. 黃應經에 「漱咽靈液災不干」의 句가 있음.

영액(靈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1 페이지 / 전적]

「靈液」- 神仙의 마시는 술을 이름.

영야청소(永夜淸霄) 하소위(何所爲)[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긴 밤 맑은 하늘에 무엇을 하리오.

영약(靈藥)[대동가(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영묘한 효험이 있는 신령스러운 약.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