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쑥꾹새[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뻐꾸기.

쑥꾹새[용문가라 14 페이지 / 전적]

뻐꾸기.

쑥머리[명륜가(明倫歌) 59 페이지 / 전적]

‘쑥대강이’를 말하는데, 머리털이 마구 흐트러져 어지럽게 된 머리로 잘 다듬지 않은 머리다듬새를 뜻함.

쓰레하다[김씨효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쓰러질 듯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쓰지마[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쓰개치마.

쓰지마[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쓰개치마.

쓴믈[ 1 페이지 / ]

① 씀바귀(슨맛이 나는 뿌리와 애순은 봄에 나물로 먹는다). ② 신채辛菜. 맛이 쓴 나물.

쓸고 쓸어[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초벌 정미한 쌀을 곱도록 다시 겨를 벗겨 내는 일

쓸고 쓸어[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3 페이지 / 전적]

정성껏 잘 정미(精米)하여.

[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내용상으로 보아 ‘성내다’의 뜻인 듯.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3 페이지 / 전적]

「無噍類」-목숨 붙어 있는 것이 없단 말임. 漢書高帝紀에 『嘗攻襄城 襄城無噍類 所過無不殘滅』이라 했고 方岳의 觀魚詩에『捜淵剔藪無噍類』라는 句가 있음.

씨(氏)냇가에[사시풍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시냇가에.

씨갑[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씨앗’의 경북 방언.

씨게마아.[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세게 마라. ‘씨게’는 ‘헤아리다’ 의미의 ‘세게(시게)’의 잘못된 표기라고 할 수 있다.

씨겨[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켜. 씨기다는 경남 방언으로 ‘시키다’의 뜻.

씨근[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식은 음식이나, 썩은 음식을 말하는 것 같다.

씨름[홀각쳥연회심가 3 페이지 / 전적]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재주를 부리어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 고유의 운동.

씨름[홀각쳥연회심가 3 페이지 / 전적]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재주를 부리어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 고유의 운동.

씨름[씨름판가(시름판가) 1 페이지 / 전적]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재주를 부리어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 고유의 운동.

씨아[오륜가라 20 페이지 / 전적]

목화의 씨를 빼는 기구. 토막나무에 두 개의 기둥을 박고 그 사이에 둥근 나무 두 개를 끼워 손잡이를 돌리면 톱니처럼 마주 돌아가면서 목화의 씨가 빠진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