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척사대회(擲柶大會)[여자탄 6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 대회.

척사대회(擲柶大會)[초원동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 대회.

척사판(擲柶板)[기수가 6 페이지 / 전적]

윷놀이 판.

척사회(擲柶會)[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의 모임.

척서(尺書)[말이타국원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이가 한 자 정도 되는, 글을 적어 놓은 널빤지.

척수(隻手)[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쪽 손, 홀로.

척시(戚施)[우미인가라 6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낯을 들고 다닐 수 없는 사람, 또는 면목이 없는 일.

척시(戚施)[우미인가라 6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낯을 들고 다닐 수 없는 사람, 또는 면목이 없는 일.

척안(斥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斥鷃」 - 斥은 尺과 통하고 鷃은 雀임. 莊子 逍遙遊에 「鵬之適南冥也 斥鷃笑之曰 彼且奚適也 我騰躍而上 不過數仭而下 翶翔於蓬篙之間」이라 하였음.

척연(惕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두려워하는 모양.

척연(惕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두려워하는 모양.

척왜척양(斥倭斥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1 페이지 / 전적]

일본과 서양을 배척함.

척종(戚從男)[인일가라 5 페이지 / 전적]

척종(戚從)이란 주로 편지글에서, 성(姓)이 다른 일가 가운데 손아랫사람에게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척준경(拓俊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의 무신(?~1144)으로 여진을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이자겸과 함께 난을 일으켰으나 후에 왕의 설득으로 이자겸을 제거하였다. 문하시중에까지 올라 권세를 부리다가 정지상 등에게 축출되었다.

척척하천(戚戚下賤)[뎡슝샹회방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친분이 있는 낮은 사람.

척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0 페이지 / 전적]

「躑躅」―걸음이 나아가지 못함을 이름. 荀子 禮論에 「躑躅焉踟躕焉」이 있음. 또 꽃이름임. 古今註에「羊躑躅花는 黃色인데 羊이 이꽃을 먹으면 죽게 되므로 보면 躑躅하여 分散한다」라 하였음. 무릇 杜鵑 山躑躅 羊躑躅 등을 모두 척촉이라 칭함.

척촉(躑躅)[원유가(遠遊歌) 3 페이지 / 전적]

철쭉의 한자 표기임.

척촉장미(躑躅薔薇)[초당춘수곡 5 페이지 / 전적]

철쭉과 장미.

척촉화(躑躅花)[황남별곡(黃南別曲) 18 페이지 / 전적]

철쭉꽃.철쭉나무의 꽃.

척촌(尺寸)[잣치가라(치라) 34 페이지 / 전적]

한 자 한 치라는 뜻으로 작은 숫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