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천씨(金天氏)[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소호금천씨(小昊 金天氏)는 산동성 곡부(曲阜)에서 도읍한 신라의 김(金)씨의 시조이며 헌원 황제의 아들이다.
금천씨(金天氏)[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소호금천씨(小昊 金天氏)는 산동성 곡부(曲阜)에서 도읍한 신라의 김(金)씨의 시조이며 헌원 황제의 아들이다.
금촉(金燭)[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금으로 장식한 촛대.
금츼로[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금치(今致)로. 지금에 이르도록. 지금까지.
금침(衾枕)[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6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동상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쟝한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침(衾枕)[벽천가 17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베개.
금침(衾枕)[김씨효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금태복장(金態服裝)[타령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일본식 복장. 모자와 팔 끝에 금색 줄을 새김.
금파(金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金波」―달의 별칭임. 韓郊祀歌에 「月穆穆而金波」라 하였음.
금패(衿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5 페이지 / 전적]
「衿佩」- 學生을 말함. 詩經 鄭風 靑襟에「靑靑子襟 悠悠我心靑靑子佩 悠悠我思」에 나온 것임.
금풍 (金風)[규중여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바람’을 달리 이르는 말. 오행에 따르면 가을은 금(金)에 해당한다는 데에서 이르는 말.
금풍(金風)[상사곡가사(상곡가사) 9 페이지 / 전적]
가을바람.
금풍삽이석기(金風霎而夕起) 옥우확이쟁영(玉宇廓而崢嶸)[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저녁이면 어느 사이 가을 바람 불어오고, 하늘의 옥우는 넓고도 쟁영하다.’는 뜻. 이곳 표제의 ‘廓而崢嶸)’은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에 ‘郭而錚暎’으로 되어 있음. 금풍(金風) : 오행(五行)에서 가을은 금(金)에 해당한 데서 ‘갈바람’을 달리 이르는 말. 옥우(玉宇) : 천제(天帝)가 있는 곳. 곧, 하늘. 또는, 매우 화려하고 웅장한 전각. 쟁영(崢嶸) : 높고 가파름. 또는, 깊고 위험함.
금할소냐[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막을 수 있을소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