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슬(琴瑟)[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4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비파, 즉 부부 사이의 정을 말함.
금슬(琴瑟)[회경가 18 페이지 / 전적]
부부간의 사랑을 일컫는 말
금슬(琴瑟)[상사금실가 5 페이지 / 전적]
부부간의 사랑.
금슬(琴瑟)[상사금실가 5 페이지 / 전적]
부부간의 사랑.
금슬(琴瑟)[한탄가 1 페이지 / 전적]
①거문고와 비파(琵琶) ②부부(夫婦) 사이의 정.
금슬(琴瑟)[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거문고와 비파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부부간의 사랑.
금슬(琴瑟)[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거문고와 비파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부부간의 사랑.
금슬(琴瑟)[자치가 16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비파.곧 부부간의 좋은 정.
금슬(琴瑟)[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비파.
금슬(琴瑟)[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비파.
금슬(琴瑟)을 불어(不御)하며[시양병가(侍養病歌) 1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비파를 타지 아니하며.
금슬우지(琴瑟友之)[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거문고와 비파가 잘 어울리듯이 부부 사이가 좋음을 말함.
금슬우지(琴瑟友之)[망부가 4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비파를 켬.『시경(詩經)』<관저(關雎)>에 나옴.
금슬우지(琴瑟友之) 종고낙(鐘鼓樂)[축원하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금슬우지(琴瑟友之) 종고낙지(鐘鼓樂之). ‘거문고로 즐기리, 북을 치며 즐기리.’
금슬종고(琴瑟鍾鼓)[사미인곡 4 페이지 / 전적]
거문고 소리와 종, 북소리. 금슬과 종고가 서로 잘 어우러지듯 부부 간의 화락한 상태를 가리키는 말.
금슬지락[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금슬지락(琴瑟之樂), 부부 사이의 화락과 즐거움.
금슬지락(琴瑟之樂)[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거문고 소리와 비파소리가 화합하듯 부부사이 정이 좋은 것.
금슬지락(琴瑟之樂)[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거문고 소리와 비파소리가 화합하듯 부부사이 정이 좋은 것.
금슬지락(琴瑟之樂)[칠여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거문고와 비파(琵琶)의 조화로운 소리라는 뜻으로, 부부(夫婦) 사이의 다정(多情)하고 화목(和睦)한 즐거움.
금슬지락(琴瑟之樂)[고분가 23 페이지 / 전적]
부부간의 사랑을 뜻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