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해제본

권롱가
UCI G001+KR08-4850000101101.D0.V00003671
한글명 권농가(권롱가) 자료형태 두루마리
분류코드 어문학_한국시 취득일 2009-08-01
작자 미상 현소장처 한국가사문학관
제작시기 전소장자
규격 123.3*22.9cm 해재자 최한선 임준성
/ 2
가로형 원문세로형 원문


권롱가

어와우리 동도드라 권롱가나 드러보소
천만민 올져게 유물유측 여시니
쥰쥰 우리인 이식위쳔 읏듬이라
잠시라도 방심말고 사쳬럴 근로야
연고락 성셰은 긔식갈음 최급다
혼둔이 쵸판 식목실 여더니
슈인시 나신후의 교인화식 여시라
셰셰짓든 복희시는 야분쥬 여시고
뇌샤짓든 신롱시는 교민가 여시고
포고복 당뇨민는 격양가럴 화답고
경역산 우슌시는 남풍시럴 노고
구쥬치젹 우시은 젼복후복 마련고
도우상임 은셕탕은 죠빌윤식 여시고
계민어 쥬고왕은 무실편을 지으시고
빈품시 칠월쟝은 남녀복사 예비고
우리나라 긔셩군 홍범구쥬 지어
졍젼법을 말가시고 롱용판졍 여시고
사민급무 문졔는 쟝쇽이 진진고
만고셩 노즁이는 불쇼찬혜 여시고
권왕도 부는 불위농시 여시고
셩문의 번지업도 가포럴 와잇고
궁경남양 졔갈선 흥복실 여잇고
고게견모 방덕공은 유지이안 여잇고
휘셔척금 예관이는 롱영이 도여잇고
죵두남산 도연명은 진긔 씨여고
금민치 당죵은 쇽등인슈 여잇고
우국원통 쥬회암은 늠봉시럴 운쥬시고
죠경야독 동쇼남은 효도 이업다
고로 졔와치덕 가간란 아라이셔
국가럴 다리고 셔민을 양성야
춘경추확 보급니 은후도 막즁고
쳔도지리 인용니 직업도 근실다
군가 지타들 야인업시 어이살며
예졀이 조타들 의식업시 어이알며
부귀영화 을마오 쳔본 농로다
식토민이 도여시니 농사나 힘쎠보
몸이우모 쇼삭도는 극기승옥 밥비고
샴시일 우고 사지일 거지로다
옥∝박∝ ∝계말고 분회럴 만이모아
시파곡 올져게 실시럴 지말고

현 대 문초 록


권농가

어와우리 동도(同徒)1들아 권농가(勸農歌)나 들어보소
천생만민(天生萬民)2 하올적에 유물유측(有物有則)3 하여시니
준준한4 우리인생(人生) 이식위천(以食爲天)5 으뜸이라
잠시라도 방심말고 사체(事體)6를 근로(勤勞)7하여
백년고락(百年苦樂)8 성세(盛世)9함은 기식갈음(饑食渴飮)10 최급(最急)11하다
혼돈(混沌)12이 조판(肇判)13한대 식목실(食木實)14 하였더니
수인씨(燧人氏)15 나신후에 교인화식(敎人火食)16 하여시라
서제(西帝)17짓던 복희씨(伏犧氏)18는 핵야분주 하여시고
뇌사(耒耜)19짓던 신농씨(神農氏)20는 교민가색(敎民稼穡)21 하여시고
함포고복(含哺鼓腹)22 당뇨민(唐堯民)23는 격양가(擊壤歌)24를 화답(和答)25하고
경역산 우순씨(虞舜氏)26는 남풍시(南風詩)27를 노래하고
구주치적(九疇28治績29) 하우씨(夏禹氏)30는 젼복후복(甸服31候服32) 마련하고
도우상임 은성탕(殷成湯)33은 조빌34윤식 하여시고
계민어색 주문왕35은 무일편36을 지으시고
빈풍시(豳風詩)37 칠월장은 남녀복사 예비하고
우리나라 기자성군(箕子聖君) 홍범구주(洪範九疇) 지어내사
정전법(井田法)38을 말가시고39 농용팔정(農用八政)40 하여시고
사민급무 한문제(漢文帝)41는 태장속이 진진하고
만고대성(萬古大聖)42 노중니(魯仲尼)43는 불소찬에 하여시고
권왕행도(權王行道)44 맹부자(孟夫子)45는 불위농시(不違農時)46 하여시고
성문의 번지업도 가포를 배워있고
궁경남양(躬耕南陽)47 제갈선생(諸葛先生)48 흥복한실(興復漢室)49
고게견모 방덕공(龐德公)50은 유지이안 하여있고
휘서척금 예관이는 대농영이 되어있고
종두남산(種豆南山)51 도연명(陶淵明)52은 진대사기(晉代史記) 쓰여내고
금민사치 당태종(唐太宗)53은 속등인수 하여있고
우국원통(憂國寃痛)54 주회암(朱晦庵)55은 늠봉시를 운주시고
주경야독(晝耕夜讀)56 동소남(董邵南)57은 효행(孝行)도 짝이없다
자고(自古)로58 제(濟)와치덕(治德)59 가색간난(稼穡間難)60 알아있어
국가(國家)를 다스리고 서민(庶民)을 양성(養成)하여
춘경추확(春耕秋穫)61 보급하니 은후(恩厚)62도 막중하고
천도지리(天道之理)63 인용하니 직업도 근실(勤實)64하다
군자(君子)가 귀타한들65 야인(野人)66없이 어이살며
예절(禮節)이 좋다한들 의식(儀式)67없이 어이알며
부귀영화(富貴榮華)68 한(恨)을마오 천하대본(天下大本)69 농사(農事)로다
식토민(息土民)70이 되었으니 농사나 힘써보세
주이우모(晝爾于茅)71 소이색도(宵爾索綯)72 극기승옥(亟其乘屋)73 바삐하고
삼시일 우사하고 사지일 거지로다
옥∝박∝ ∝계말고 분회(粉灰)74를 많이모아
시파백곡(時播百穀)75 하올적에 실시(失時)76를 하지말고

어휘 풀이

1)동도(同徒) : 뜻을 같이 하는 무리 또는 집단.

2)천생만민(天生萬民) : 하늘이 낸 만백성. 이 세상 모든 사람을 일컬음.

3)유물유측(有物有則) : ‘사물이 있으면 법칙이 있다’는 뜻으로 『시경(詩經)』<대아(大雅)> 증민편(蒸民篇) ‘천생증민(天生蒸民) 유물유측(有物有則)’에서 유래한 것이다.

4)준준한 : 어리석고 미련한.

5)이식위천(以食爲天) : 먹는 것으로써 하늘을 삼음. 곧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먹는 것임을 강조한 말.

6)사체(事體) : 사리(事理)와 체면(體面)을 아울러 이르는 말.

7)근로(勤勞) : 부지런히 일함.

8)백년고락(百年苦樂) : 한평생 괴로움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9)성세(盛世) : 국운이 번창하고 태평한 시대.

10)기식갈음(機食渴飾) : 굶주리고 목마름. 『채근담(菜根譚)』에서 “천성이 맑으면 배고프고 목마른 생활이라도 모두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지 못할 것이 없고, 마음이 물욕에 빠져 혼미해지면 비록 선(禪)을 말하고 게(偈)를 풀이할지라도 모두 정신을 희롱하는 것일 뿐이다. 性天澄徹 則饑食渴飮 無非康濟身心, 心地沈迷 縱談禪演偈 總是播弄精魂”이라 하여 천성이 맑으면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다고 했다.

11)최급(最急) : 가장 급하거나 빠름.

12)혼돈(混沌) : 하늘과 땅이 아직 나누어지기 전의 상태.

13)조판(肇判) : 처음 쪼개어 갈라짐.

14)식목실(食木實) : 나무 열매를 먹는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성인인 유소씨(有巢氏)가 새가 보금자리를 만들고 사는 것을 보고 사람에게 집짓는 법과 나무열매를 따먹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15)수인씨(燧人氏) :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로 불을 쓰는 법과 음식물의 조리법을 전하였다고 한다.

16)교인화식(敎人火食) : 사람에게 불로 음식을 조리하는 법을 가르침.

17)서제(西帝) : 복희(伏犧)와 같은 시대에 살았던 전설상의 인물.

18)복희씨(伏犧氏) :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로 팔괘를 처음 만들고 그물을 만들어 고기잡이를 가르쳤다고 한다.

19)뇌사(耒耜) : 쟁기의 일종으로 호미같이 생겼다고 한다.

20)신농씨(神農氏) : 중국의 옛 전설 속의 제왕으로 삼황(三皇)의 한 사람임. 농업·의료·악사(樂師)·주조(鑄造)·양조(釀造)·역(易)·상업의 신이라고도 한다.

21)교민가색(敎民稼穡) : 백성들에게 농사를 가르친다는 뜻으로 『맹자(孟子)』<등문공장구상(滕文公章句上)>에 “후직이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오곡을 심고 가꾸게 하였는데, 오곡이 영글어 백성들이 잘 살게 되었다.后稷敎民稼穡 樹藝五穀 五穀熟而人民育”라 한데서 나온다.

22)함포고복(含哺鼓腹) :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23)당요민(唐堯民) : 요임금 때의 백성을 뜻하며, 요임금을 당요(唐堯)라 부른다.

24)격양가(擊壤歌) :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로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며 불렀다고 한다.

25)화답(和答) : 시(詩)나 노래에 응하여 대답함.

26)우순씨(虞舜氏) : 순임금을 가리킨다.

27)남풍시(南風詩) : 중국 상고시대 순(舜)임금이 남훈전(南薰殿)에서 오현금을 타며 백성의 편안함 과 풍부한 살림을 읊은 시를 말한다.

28)구주(九疇治績) : 구주는 홍범구주(洪範九疇)를 가리키는 말로 『서경(書經)』에서 우(禹)임금이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을 말한다.

29)치적(治績) : 잘 다스린 정치상의 업적을 말한다.

30)하우씨(夏禹氏) : 중국 하(夏)나라 때 우임금을 말한다.

31)전복(甸服) : 황제가 직접 다스리는 통치 영역을 말한다.

32)후복(候服) : 제후가 직접 다스리는 통치 영역을 말한다.

33)은성탕(殷成湯) : 은나라 성탕(成湯)왕을 말한다.

34)조빌 : 악기인 생황(生簧)을 말한다.

35)주문왕(周文王) : 주나라 문왕을 말한다.

36)무일편(無逸篇) : 『서경(書經)』무일편을 말한다.

37)빈풍시(豳風詩) : 『시경(詩經)』의 한 제목을 말한다.

38)정전법(井田法) : 주나라 때 처음 실시한 토지제도를 말한다.

39)말가시고 : 펼치시고.

40)농용팔정(農用八政) : 농사를 다스리는 데 8가지 정책을 말하는 것으로 『주서(周書)』홍범편(洪範篇)에 나온다.

41)한문제(漢文帝) : 한나라 황제 문제를 가리킨다.

42)만고대성(萬古大聖) : 세상에 비길 데가 없는 큰 성인.

43)노중니(魯仲尼) : 노나라의 공자를 뜻으로 중니는 공자의 이름이다.

44)권왕행도(權王行道) : 임금이 행야할 도리.

45)맹부자(孟夫子) : 맹자(孟子)를 가리킨다.

46)불위농시(不違農時) : 농사지을 때를 어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적절한 시기에 때를 놓치지 않고 농사일을 하도록 해 주는 것을 일컫는다.

47)궁경남양(躬耕南陽) : 제갈량이 출사하기 전에 남양에서 몸소 밭을 갈았다는 뜻으로 『출사표(出師表)』에서 나온다.

48)제갈선생(諸葛先生) :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신하인 제갈량(諸葛亮)을 말한다.

49)흥복한실(興復漢室) : 한나라의 왕실을 다시 부흥시킨다는 뜻으로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에서 나온다.

50)방덕공(龐德公) : 제갈량의 스승이라 전한다.

51)종두남산(種豆南山) : 도연명(陶淵明)이 살았다고 전하는 곳으로 <귀원전거(歸園田居)>에서 나온다.

52)도연명(陶淵明) : 중국 동진(東晋)시대 때의 시인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로 유명하다.

53)당태종(唐太宗) :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을 가리킨다.

54)우국원통(憂國寃痛) : 나라를 걱정하고 원통해 함.

55)주회암(朱晦庵) : 남송(南宋) 시대 때 유학자인 주희(朱熹)를 가리킨다.

56)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

57)동소남(董邵南) : 당나라 때 사람으로 한유(韓愈)가 장수로 추천하였다고 함.

58)자고(自古)로 : 자고이래로. 옛날부터.

59)제(濟)와치덕(治德) : 몸을 가지런히 하는 것과 덕을 쌓음.

60)가색간란(稼穡間欄) : 심고 가꾸는 사이의 어려움.

61)춘경추확(春耕秋穫) : 봄에 뿌리고 가을에 거두어들임.

62)은후(恩厚) : 은혜가 두터움.

63)천도지리(天道之理) : 하늘의 도와 이치.

64)근실(勤實) : 부지런하고 진실하다.

65)귀타한들 : 귀(貴)하다한들

66)야인(野人) : 시골에 사는 사람.

67)의식(儀式) :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68)부귀영화(富貴榮華)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69)천하대본(天下大本) : 천하에 가장 으뜸인 근본.

70)식토민(息土民) : 식토는 기름진 땅을 말하며, 식토민은 기름진 땅을 가꾸는 백성을 말한다.

71)주이우모(晝爾于茅) : 낮에는 띠풀을 손질하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72)소이색도(宵爾索綯) : 밤에는 새끼를 꼰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73)극기승옥(亟其乘屋) : 빨리 지붕을 덮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74)분회(粉灰) : 화학용어로 수산화칼슘을 말한다.

75)시파백곡(時播百穀) : 때에 맞춰 오곡백과의 종자를 뿌린다. 『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에 나온다.

76)실시(失時) : 때를 놓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